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개씩 일정방향으로 소사(掃射)하여 광학적인 강약을 전기적인 강약으로 변환한다
결국
넓은 화면을 먼저 많은 선, 즉 주사선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의 선을 많은 점의 집합으로 나누어 전체를 아주 작은 화소(畫素)로 분해하여 보낸다 이론적으로는 주사선의 수가 많을수록 그림의 분해능 혹은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자금이 고갈되고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며 테슬라 시스템에 대한 투자자의 불신이 커져
결국
1905년 중단되고 말았다. 하지만 테슬라는 이 에너지 전송의 꿈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테슬라는 앞을 내다볼 줄 모르고 나약하며 의심이 많은 어리석은 사람들 때문에 자신의 위대한 구상이 실현되지 ... ...
내 몸에 꼭 맞는 재료 설계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액체 상태일 때는 비정질을 띠지만 고체 상태로 변하면 어떤 일정한 결정을 이루게 된다.
결국
비정질이란 액체 상태 그대로 원자 배열 형태를 유지하면서 고체가 돼야 한다는 의미다.액체인 비정질 상태를 그대로 고체로 만들려면 급격히 냉각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런 냉각 기술이 어렵기 때문에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윌리엄 허셜의 아들인 존 허셜을 만나고 싶었다. 그는 초대장을 기다리다가 참지 못하고
결국
용기를 내 존 허셜을 직접 찾아갔다. 존 허셜과의 만남은 마리아 미첼에게 큰 전기를 가져왔다. 존 허셜이 자신의 숙모 캐롤라인 허셜의 친필 논문을 선물로 준 것이다. 이렇게 두 여성 천문학자는 수십 ... ...
다이빙 선수의 우승비결은 공명?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더 작게 진동 할 수도 있다. 시간이 흐르면 그네가 고유진동수로 진동하려는 경향은
결국
사라진다. 그리고 외부에서 진동 시키는 것과 같은 진동수로 움직이는 진동만 남는다. 물론 그 진동의 크기인 진폭은 고유진동수로 진동할 때 보다 일반적으로 작아진다. 이처럼 외부에서 억지로 진동시키는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섬 인근 해저에 발해 닻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몇 년 동안 수차례 인양을 시도했는데,
결국
은 실패했다는 내용이었다.그 이야기는 무척 흥미로웠다. 발해 닻은 국내 학계에 전혀 알려진 정보가 없다. 발해 닻의 이미지는 미지의 해저 세계와 뒤엉키며 필자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라트니코프 씨는 ... ...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응력이 축적되며 주기적으로 지표면에 발달된 활단층대를 통해 해소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한번 축적된 응력이 다 해소되는 데에 약 70년이 걸리는 셈이다.미국 지질조사소(USGS)는 매년 지구에서 발생하는 지진에너지가 대략 일정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지구는 끊임없이 지진을 일으켜 에너지를 ... ...
서울 아파트 값, 왜 오르기만 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좋은 학군의 아파트는 꾸준히 상승한다. 물론 정부정책에 따라 가격은 떨어지기도 한다.
결국
집값은 일반적인 제품가격과 달리 변화가 심해 오를지, 내릴지 알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강남 아파트 가격 증가율, 강북의 5배그래도 집값의 변화 속에 어떤 규칙이 있지 않을까. 먼저 집값 자체보다 ... ...
1. 중력 이기며 공중전으로 승부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선수 숫자를 늘리는 쪽으로 결정했다. 우주에서 연습시간을 많이 갖기 힘들기 때문이다.
결국
달에서 벌어진 축구경기에 출전한 한팀의 선수는 11명에서 30명으로 늘어났다.달 축구장에서는 해가 빛나는 낮에도 하늘이 깜깜해 조명이 필요하다. 까만 하늘을 배경으로 공중에서 방방 뜨며 슛을 때리고 ... ...
63빌딩을 벽돌처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안았다.윤 교수는 과학자를 세 등급으로 나눈다. 첫 번째는 변화를 못 좇아가는 사람으로
결국
학계에서 도태된다. 두 번째는 변화에 잘 적응하는 사람이다. 학계의 새로운 원리나 연구 소재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능력있는 과학자다. 세 번째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다른 사람이 따라하도록 만드는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