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반경 1m안의 것 보고 판단 팔에 눈달린 로봇 KAIROS군
과학동아
l
198808
연구중이지만 카메라 2대를 동시에 로봇의 팔에 설치, 거리를 파악하는 방법도 있다.
측정
하고자 하는 물체에 초음파를 쏘아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 거리를 알아낸다는 것.KAIROS의 또 하나의 장점은 소프트웨어가 참신하다는데 있다. 인공지능, 제5세대 컴퓨터용으로 개발된 로봇언어인 프롤로그(prolog ... ...
동독(東獨)스포츠의 비밀
과학동아
l
198808
바이네르트'가 검사를 받고 있었다. 장비는 놀라웠다. '일리야'는 생물학적 나이를
측정
받는 중이엇는데 손가락에서 발가락까지 세밀한 검사가 진행되었다.그는 단거리선수가 되는게 꿈이며 만약 검사결과 부적합하다면 축구선수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만약 훌륭한 선수가 될 소질이 부족하다는 ... ...
프랑스 AGROS시스팀 국내소개
과학동아
l
198808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현재 이 AGROS방식은 오차 범위 50m를 벗어나지 않는 정교한 위치
측정
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를 활용하면 신비에 쌓인 코끼리 죽음의 장소를 찾아내게 될지도 모른다고 한 AGROS관계자는 들려준다. 실제로 아이보리 코스트에서는 그 일을 하고 있다는 것 ... ...
서귀포의 이동식 기상레이다
과학동아
l
198808
이밖에 바다의 안개(海霧)도 탐지해내고 수직 및 수평기류도
측정
할 수 있다.레이다가
측정
한 자료는 단기적인 기상예보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상현상을 연구하는 데도 활용된다. 강수현상을 일으키는 구름의 구조특성이라든가 강수의 강도 및 태풍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유익한 자료를 ... ...
IGF-1의 국내개발 키뿐 아니라 당뇨에도 도움
과학동아
l
198807
있다. 난장이족으로 유명한 아프리카의 피그미족이다. 그들의 체내에서 성장호르몬을
측정
한 결과, 다른 종족의 성장호르몬치(値)와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이는 성장호르몬이 아닌 어떤 새로운 신비의 물질이 인간의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암시한 것이다. 그래서 신화와도 같았던 ... ...
과학으로 푼 변화구의 원리
과학동아
l
198807
일정할 때 공의 회전 수에 따라 옆방향으로 공이 처지는 거리(이하 처짐거리라 칭함)를
측정
한 결과가 나와 있다. 여기서 처짐거리는 공의 회전속도(수)에 정비례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처짐거리는 진행속도와는 무관하다. 회전속도가 같다면 공의 빠르기에 관계없이 처진거리는 같다.타자(打者)는 ... ...
깨끗하고 맛있는 물을 마시려면
과학동아
l
198807
정수를 하여도 물맛이 나쁘다. 유기물질의 함유량은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으로
측정
하지만 물맛을 해치지 않기위해서는 그 양이 1ℓ의 물에 10㎎이하여야 한다.②페놀(phenolㆍ石炭酸)류: 공장폐수와 함께 혼입되는 물질로 극히 미량이라도 있으면 소독하기 위해 넣는 염소와 결합하여 독한 냄새가 ... ...
등대의 모든 것을 한눈에 영일만의 장기갑 등대박물관
과학동아
l
198807
무선방향탐지, 회전식 등 여러 종류가 있다.로오런국은 선박이 로오런 수신기로
측정
하여 선위를 결정하는 장치. 육상에 2국1조의 송신소를 설치하여 일정한 전파를 발신하면 선박에서는 전파의 도달시간차에 의해 선위(船位)를 구하는 것으로 유효거리는 7백~1천4백마일 정도다.등대박물관은 ... ...
자리 바뀐 섬
과학동아
l
198807
확신할 수 없는 일은 콜롬버스의 나침반에 관한 것이다. 지구표면의 특정 위치에서
측정
되는 나침반의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은 해마다 바뀌므로, 1492년 콜롬버스가 항해한 여러 다른 지역에서의 정확한 방향을 알수 없다.그렇다 할지라도 추측 항법에 의하면 산살바도르의 약 15마일 남쪽 지점이 ... ...
윤초(閏秒)
과학동아
l
198806
일정하다. 한번이라도 적거나 많아지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여러분이 하루의 길이를
측정
한다면(혹은 천정에서 한 특정한 별이 다시 그 자리에 올 때까지의 시간) 하루의 길이가 날마다 몇 번의 진동수 차이로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된다. 때로는 빨라지거나, 느려지지만, 결국에는 느려지게 된다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