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801건 검색되었습니다.
평형감각 기르는 재활훈련 집에서도, 여행중에도 ‘척척’
2015.04.23
이전하고 국립재활원과 서울대병원 등에서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다. 허재두 ETRI
융합
기술미래연구팀장은 “앞으로 좀더 완벽한 재활훈련에 적용하기 위해 시스템 안정화 및 고도화, 콘텐츠의 다양화 같은 편의성 등에 대한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며 “재활의료관련 기업들에 추후 기술이전을 ... ...
“세상에 속지 않으려면 과학을 읽어라”
2015.04.14
대해서 “과거의 처세술을 알려주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대신 인문학과 과학을
융합
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보통 과학자는 자연을, 인문학자는 사람을 공부한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사람과 자연을 분리한 이분법적인 사고가 오랫동안 지속됐기 때문이다. ... ...
‘꿈의 물질’ 2개 합쳤더니 고효율 광센서가 ‘뙇’!
2015.04.14
것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는 꿈의 신소재인 그래핀과 실리콘 양자점으로
융합
구조를 만들어 광센서에 활용한 첫 사례”라며 “기존 공정에 기반해 소자를 만듦으로써 특별한 공정 구축 없이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학술지 ... ...
[사이언스 브리핑] 미래부 신규과제 공모 外
2015.04.10
선정한다. 미래부는 이번 신규 과제 선정을 통해 심혈관·관절·망막질환 등을 치료할
융합
세포 유전자 치료제와 소변과 눈물 등을 이용한 비침습성 질병진단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조기 진단 등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신규 과제는 50개 내외로 선정되며, 여기에 지원되는 ... ...
플라스틱에 그래핀 섞어 공기 차단 성능 240배 ↑
2015.04.07
포장재 등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유 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플라스틱
융합
에 적합한 그래핀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디스플레이 소재나 우주항공 및 복합소재 성능을 큰 폭으로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성과는 미국화학회에서 ... ...
“통합수능 봐야만 창의적 인재 되나?”
2015.04.07
정부의 요구에 대학 교과과정에
융합
과목들을 포함시켰는데, 고등학교 때부터
융합
교육을 하면 오히려 기초 수학·과학 지식은 부족해져 이런 학생들을 학생들을 재교육시킬 여력까지는 없다 것이다. 김 교수는 “수능 제도를 개선할 때 대학의 현실을 고려한 최소한의 통제 장치를 만들어야 ... ...
몸속에서 완전 분해되는 전자소자 개발
2015.04.05
전자소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황석원 KU(고려대)-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
대학원 교수는 미국 일리노이대 강승균 박사팀과 공동으로 생분해성 물질의 금속 위에 초박막 실리콘을 얹어 몸속에서 완전히 용해되면서도 기계적 성질과 안정성이 뛰어난 전자소자를 제작했다고 2일 ... ...
“1986년 1월호 과학동아 특집기사는 뭐였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5.04.03
퀴즈를 풀어보세요. 정답자 중 매주 5명에게 스무디킹 교환권을 드립니다. [예시] 핵
융합
레이저 중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미국 ‘로렌스 리버모아’ 국립연구소의 ‘노바’로서 1억 7600만 달러를 들여 1978년부터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10개의 레이저 발진기 중 8개가 가동하고 있다. ... ...
[SW가 미래다 1] “소프트웨어는 창의성 위한 훌륭한 도구”
2015.04.03
났는데, 핵심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더라고요.” 지난해 성균관대가 개최한 ‘
융합
모바일앱 공모전’에서 창의대상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을 수상한 김현지 씨(21)는 과학교육 전공자다. 이공계 대학생이긴 하지만 스스로 소프트웨어에는 문외한이라고 생각했다. 김 씨가 개발한 앱은 ... ...
“3세대 로봇 개발로 미래시장 선점해야”
2015.03.31
말했다. 이날 행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지난해 12월 출범시킨 다중지능로봇
융합
클러스터 사업의 일환으로 열렸으며, 국내 로봇 분야 연구개발(R&D)을 짚어보고, 미래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지능형로봇 분야 산학연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했다.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