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52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AI, 생명과학의 미스터리 단백질 접힘 문제 해결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활용해 단백질 접힘을 예측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CASP는 존 몰트 미국 메릴랜드대
세포
생물학 및 분자유전학과 교수의 주도로 1994년부터 시작해 2년마다 열리는 단백질 구조 예측 대회다. CASP 조직위원회는 대회가 열리는 해 여름부터 매일 1~2개씩 아미노산 서열을 공개해 대회가 열리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육과 글루타민
2020.12.01
만들게 대사회로를 재설정해 살아남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이 조절과 함께 미세환경인 암
세포
주변에서 농도를 낮추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코로나19로 헬스장도 못가고 집에서 유튜브 영상을 보며 따라 하려 해도 잘 안 된다. 그래서인지 한동안 신경 써 늘린 근육량이 다시 꽤 줄어든 것 같다. ... ...
[백신업데이트] 진원생명과학, 코로나19 치료후보물질 미 FDA 임상 2상 승인받아
연합뉴스
l
2020.11.30
효능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덱사메타손은 감염 환자의 면역
세포
인 B
세포
와 T
세포
에 손상을 주는 부작용이 있지만, GLS-1027은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진원생명과학 관계자는 "GLS-1027은 투약 편의성과 우수한 안전성을 바탕으로 코로나19 폐 질환 치료뿐 아니라 각종 염증질환과 ... ...
중국 달 탐사선 창어5호 달 400㎞상공 도착…가장 젊은 달 토양 싣고 내달 지구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9
000만년 전 토양과 암석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창어5호가 가져올 샘플은 지구에서 다
세포
생물이 진화하기 시작한 12억년전부터 있었던 비교적 젊은 달 토양이다. 미국이 앞서 가져왔던 샘플은 31억~44억년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오래된 토양과 암석으로 분류된다. 폭풍의 바다에서 2kg 이상의 달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세포
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것이다. ‘이 얇은 막의 안쪽은 내 것’이라고 주장하던
세포
가 원시 바다를 헤엄치던 때부터, 우리는 자신의 영역에 집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자신의 영역 안으로 허락 없이 들어온 녀석을 쫓아냈다. 텃세의 기원이다. 여기는 내 땅이다 유리 안드레예비치 ... ...
[프리미엄 리포트]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 '알트(ALT)' 에 주목하라
2020.11.28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필자소개 성상현.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생쥐 배아줄기
세포
의 텔로미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예쁜꼬마선충의 이야기를 다룬 책 ‘벌레의 마음’을 공동 집필했으며, 텔로미어를 포함한 유전체의 진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sshflash@snu.ac.kr ... ...
신뢰 흔들린 아스트라제네카 “추가 검사는 하지만 공급 지연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7
바이러스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를 집어넣어 만들었다. 면역
세포
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감지하면 항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아데노바이러스를 운반체(벡터)로 쓴 것이다. 정식 명칭은 AZD1222지만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이라고도 불린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항체 ‘유효기간’은 최소 6개월
2020.11.27
일부는 바이러스가 새
세포
를 감염시키는 것을 더 잘 막아냈다. 이
세포
들은 숙주
세포
를 깨부수고 침투하는 데 쓰이는 스파이크단백질에 변이가 일어난 바이러스에조차 잘 들러붙었다. 이런 포획 항체들은 바이러스가 면역체계의 감시를 회피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런 항체들과 같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법칙과 3:1 분리의 법칙을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다. 물론 멘델의 시절에는 아직 생식
세포
나 유전자의 개념이 정확하게 정립되기 전이었다. 멘델의 법칙을 아주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두 개의 변이형태를 문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가령 완두콩의 모양이 둥근 형질을 A, 주름진 형질을 a라 표시하면, ... ...
[랩큐멘터리]당뇨 진단하고 치료하는 똑똑한 콘택트렌즈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콘택트렌즈가 담당한다면 치료에서는 약물을 원하는 곳에 전달하는 나노모터와 치료용
세포
를 오랜 기간 보호할 수 있는 나노 하이드로젤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세광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올해 6월에는 방광 속에서 질병을 치료하는 나노모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