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014년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유현재 서강대 교수에 의뢰해 제작한 ‘한국형 담배경고그림 10종’ 중 일부다. 물론 이 두 장은 비교적 충격적이지 않지만, 한 온라인 투표에서 1, 2, 3위를 차지한 폐암, 후두암, 영유아, 사진은 이곳에 싣지 못할 만큼 충격적이다. 최종 담뱃갑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인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과학동아의 기사를 읽고 더 넓고 깊은 지식을 얻고 싶어하는 독자를 위해 그 동안 한국의 대중 과학기사에서는 불문율처럼 생략해 왔던 중요 참고 논문 정보를 표기한다. 이는 과학자들이 줄곧 요청했던 내용이다. 과학동아는 앞으로도 독자와 과학자들의 제안과 조언을 적극 들으며 혁신할 것이다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손과 아주 유사했다(56쪽 사진 참조). 다섯 개의 손가락과 손톱은 물론 손금까지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발간한 책 ‘인류의 가족, 인간의 동반자, 영장류’에 따르면 원숭이도 개체마다 고유한 지문을 가지고 있다. 사람처럼 개체를 분별하는 데 쓰지는 않지만 생존에 필수적인 기능을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암흑물질일 수 있는 것이다.LHC의 검출기 중 하나인 시엠에스(CMS)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 연구팀 대표인 최수용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암흑물질의 질량이 수 TeV 정도라면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지난해 6월부터 10월 말까지 실험한 데이터에서 현재 그 흔적을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지구촌에서 현금이 사라진다“다음 세대에 태어나는 아이들은 돈(현금)이 무엇인지 모르게 될 것이다.”지난해 11월, 세계적인 IT 기업 애플의 CEO 팀 쿡은 곧 현금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고했어요. 그리고 ‘페이 서비스’가 현금의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지요. 실제로 최근 TV를 틀면 각종 페이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가 성장할 수 있도록 해외 석학도 초청하고, 학회도 열려고 해요. 한국에서도 좋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자랑스럽게 말할 날이 오면 좋겠어요. 독자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지식도 중요하지만 수학을 공부하면서 습득할 수 있는 논리력, 사고력, 인내심을 ...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스마트폰 안에 있는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소프트웨어다.뉴스에서 ‘한국은 IT강국이다’ 라는 말을 많이 접할 수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IT는 주로 하드웨어, 그중에서도 반도체를 말한다. 하드웨어 산업의 발전에 비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은 미비해서 주로 외국의 소프트웨어 ... ...
- [News & Issue]정직한 나라, 실험해 봤더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실험에서 영국은 정직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3.4%에 불과한 반면 중국은 70%에 육박했다. 한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 국가에서 대체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두 번째 음악 퀴즈에서는 일본이 가장 정직한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로 문화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정직함에 대한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를 ‘결어긋남(Decoherence)’이라고 한다. 실제로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 있는 김용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광자를 제외한 양자 물리계는 결어긋남 현상을 줄이는 게 정말 어렵다”며 “결어긋남 감소 기술이 양자컴퓨터 실현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만약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세상에 나왔다. 같은 해, 과학자로 첫 발걸음을 뗀 이들도 있었다.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대(KIT)는 1986년 첫 번째 학부생을 모집했다. 과학동아와 같이 태어난 이 쌍둥이 과학자들은 카이스트로 돌아와 벌써 중견 학자가 됐다. 30년 전의 앨범에서 찾은 그들을 찾아가 그때 그 시절의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