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경쟁력이라는 생각을 미처 하지 못했던 시기였다. 과학동아에 산업디자인 기사가 처음 실린 것도 1991년이었다. 대신에 여학우를 보려고 과를 바꿨다는 이야기가 농담으로 나올 정도로 여학생은 많은 과였다고 한다. 무려 50%에 가까운 비율을 자랑했다고. :)“(화학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가 어떻게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힉스 입자를 관측했다고 공식 선언했다. 힉스 메커니즘을 처음 제안한 피터 힉스와 프랑수아 앙글레르는 2013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거대강입자충돌기(LHC)를 이용하는 아틀라스(ATLAS)와 시엠에스(CMS) 검출기를 이용해 밝혀낸 사실은 힉스 입자가 표준모형에서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일은 절대 없을 겁니다.김동원 건축학과에 어울리는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조항만 처음에는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좌절감을 맛보곤 합니다. 모형으로 만들고 그림그리는 게 쉽지 않은 거죠. 다른 애들은 다 잘하는데 나만 못하는 것 같고. 그런데 이런 부분은 아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신의 입자’란 별명을 얻게 됐지요. 힉스는 1960년대 영국의 과학자 피터 힉스가 처음 이론적으로 예측했지만, 존재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직접 관측되지 못했어요. 그러다가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해 마침내 힉스를 발견했어요.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 ...
- 미끌미끌~! 초보 산타의 빙판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결합하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있다는 거예요. 18세기 영국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처음 주장했지요.이 학설은 20세기에 실험으로 증명됐어요. 1996년 미국 로렌스버클리 연구소에서 주변의 온도를 내리며 얼음 표면에 전자를 쏜 결과, 영하 148℃까지 전자가 얼음이 아닌 액체인 물과 충돌한다는 ...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10여 년 전, 미국 헐리우드에서 여러 영화들 속 컴퓨터 그래픽에 필요한 기술들을 만들며 처음으로 꿈을 이뤘어요. 지금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이자, 그래픽 사이언티스트로서 컴퓨터 그래픽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명예기자들이 연구실에 들어가자 노준용 ...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2011년 중국에서 데려왔다. 어미는 올해 1월 달에 수컷 두 마리를 출산하였고, 새끼들과 처음 8개월을 같이 지내면서 살아남는 데 필요한 여러 기술을 가르쳤다.예를 들면 어미는 계절에 따라 먹을 수 있는 먹이의 종류를 알려 준다. 어미가 적당한 먹이식물을 씹어 먹다가 땅에 놓으면, 새끼들은 ... ...
- Part 3. 치킨의 변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커널 샌더스랍니다.그럼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치킨을 먹었을까요? 튀기는 닭 요리가 처음 들어온 것은 1950년대 한국전쟁 때로 알려져 있어요. 이후 1980년대 치킨 체인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우리나라 치킨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됐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 나의 ... ...
- Part 2. 닭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DNA를 조사해 적색야계에서 갈라진 가축닭은 기원전 3000년경에 중국, 인도 등지에서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그럼 적색야계는 어떻게 가축이 됐을까요? 스웨덴 리코핑대학교 페르 젠슨 교수팀은 적색야계를 몇 대에 걸쳐 직접 키워 봤어요. 그 결과 5대째에 이르자 사람에게 친숙하게 ... ...
- [화보] 하늘에서 내려다본 세상 드론스타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배달부, 해양 구조대, 그리고 인공위성까지. 드론은 못하는 일이 없는 재주꾼이에요. 처음엔 군사용으로 개발됐지만, 몸체가 점점 작고 가벼워지면서 우리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지요.게다가 요즘은 드론이 사람의 눈을 대신해 주기도 한답니다. 드론에 카메라를 달면 150m 정도의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