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ATP를 주입하자 1초에 약 8회의 회전속도로 나노프로펠러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도는 것이
관찰
됐다. 이때 연료 효율은 50% 정도로 계산돼 일반 모터의 효율인 20%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런 나노모터가 나노구조물에 운동성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원자 수준에서 측정, 제어할 수 있는 표면과학과 나노과학 기술을 세포나 미세한 생물을
관찰
해야 하는 생명과학에 적용하는 야심찬 계획이 바로 나노·바이오 융합 사업이다.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문 박사가 내건 슬로건은 특이하게도 ‘No 벤치마킹’. 새로 사업을 시작할 때 기존의 비슷한 사례를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무당거미의 행동습성에서 착안된 아라자임처럼 일상의 작은
관찰
에서도 얼마든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다. 곤충의 능력을 인간이 조금만 더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면 훨씬 더 신나고 즐거운 세상에서 인간과 곤충이 함께 살 수 있을 것이다.벌레는 평화수호자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별’을 발견했다. 이 별은 목성만큼이나 밝았다.케플러는 18개월에 걸쳐 이 별을
관찰
한 결과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이라 맨눈으로 관측했다. 이 별은 그해 11월에는 태양 뒤로 사라졌다가 이듬해인 1605년 5월 1일에는 새벽 동쪽 하늘에 다시 나타났다. 이때는 조금 어두워져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흐르는 강물 따라’와 ‘흙에서 흙으로’는 저자가 직접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며
관찰
하고 사색한 내용이다. 개인의 삶과 철학, 일상의 작은 일들이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는 2권의 책은 ‘생태학’의 긴장감을 잃지 않을까 염려하는 저자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고 읽는 사람들을 편안하게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엄청난 중력으로 X선을 포함한 빛까지 빨아들이므로 찬드라 역시 블랙홀을 직접
관찰
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블랙홀로 인해 요동치는 주변 천체나 물질에서 방출되는 X선을 포착함으로써 블랙홀의 위용을 간접적으로 증명했다.질량이 태양의 수백만-수천억배에 이르는 거대 블랙홀은 중력도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명령했다. 몇 년 뒤 임무를 받은 만주 총관 목극등이 백두산에서 압록강과 두만강을
관찰
한 뒤 세운 비문에서 양국의 국경선이 두 강의 본류가 아니라 북쪽에 있는 발원지임을 명확히 했다.1860년 중국은 그러한 사실을 부인하면서 조선인을 간도 지방으로 쫓아냈고 조선의 대표였던 이중하는 1863년 ... ...
밑밥 뿌려 먹이 부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새끼를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냄새 위장’ 일 것으로 추측하고 좀더 자세히
관찰
했다.그 결과 굴 주위의 똥은 냄새 위장용이 아니라 굴올빼미가 가장 즐겨 먹는 쇠똥구리를 유인하기 위한 밑밥임이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굴 주위에 똥이 있을 경우 없을 때에 비해 올빼미가 쇠똥구리를 1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세미나’ 에서 “허준은 1613년 북쪽지방에서 유행했던 성홍열에 대해 매우 면밀한
관찰
결과를 보고했는데 이는 성홍열에 대한 동아시아 지역의 첫 연구”라고 밝혔다.또 신 교수는 “허준은 두창, 온역(장티푸스 질환) 등 조선시대의 전염병에 대해 연구했으며 오늘날의 홍역에 해당하는 새로운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혈관뿐만 아니라 림프관도 새로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암조직을
관찰
해보면 그 주변에 혈관뿐만 아니라 림프관도 많이 분포해 있다. 학계에서는 림프관은 주로 암이 전이되는데 쓰일 것이라는 주장이 우세하다. 암세포가 주변의 림프관 안으로 들어와 이를 타고 인체 내 다른 조직으로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