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스페셜
"
점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
점
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 ● 박종구 단장이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다양한 분야가 융합해 색다른 관
점
제시해야 ② 완성도-신규성-원천성 만족하는 기술 개발 ③ 원천기술을 상용화로 이끄는 별도의 플랫폼 필요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것은 "선수가 심판을 겸하고 있다"는 비판을 듣지 않도록 원칙을 분명히 세워야 한다는
점
이다. 민간인 전문가를 영입해 권한을 분산시키는 해결책도 제기되고 있다. 넷째는 교육과학기술부와의 차별성 확보다. 지난 정부는 교육과 과학기술을 하나로 묶어 많은 비판을 들었지만 창의교육과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분야가 그다지 드러나지 않았지만, 바이오기술(BT)이 뒷받침돼야 가능한 전략이 많다는
점
에서 바이오 분야의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정부는 국민행복과 삶의 질 향상을 외치고 있는데 이들은 바이오기술(BT)과 직결됩니다. 과거 IT 분야에 투자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BT 분야에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유지하고 연구조직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보장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기술의 독
점
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특허 관리를 통해 경쟁자를 물리쳤다. 요컨대 퀄컴은 기술적 우위를 어떻게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범답안을 보여준 셈이다. 이 과정에서 ETRI가 중요한 역할을 했고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전자가 스크린에서 검출되는 위치를 기록하면 처음에는 제멋대로
점
이 찍히는 것 같지만
점
차 간섭패턴 무늬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전자들은 분명히 서로 독립적으로 그것도 시간 차이를 두고, 즉 한 측정이 끝난 뒤에야 전자총에서 다음 전자가 튀어나왔는데 어떻게 이런 마술이 일어날 수 있을까.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의 분비를 더 많이 분비된다. 랜디 실리 교수는 “호르몬의 관
점
으로 식품을 보면 건강을 증진하거나 병을 치료하기 위한 권장 식단을 설계할 때 큰 영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단순히 영양 밸런스가 맞는 메뉴가 아니라 대사질환과 관련된 신호전달에 영향을 줄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퉁구스카 사건을 묘사한 부분 일부를 옮겨놓았다. “1908년 6월 30일 아침은 구름 한
점
없이 화창했다. 아침 8시 집 앞 계단에 앉아있던 농부 세르게이 세메노프는 하늘에서 엄청난 폭발을 목격했다. 훗날 세메노프가 과학자들에게 진술한 바에 따르면 불덩어리가 워낙 밝아 햇빛이 어둡게 느껴질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역시 자신의 1905년 논문에 대해 만족하지 못했다고 한다.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설정한
점
입자라는 가정을 하젠욀처럼 부피가 있는 입자로 바꿔 즉 일반화해 증명하려고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E=mc²에 대한 진정한 일반화된 증명은 1911년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폰 라우에가 성공했다. 1914년 제1차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보여줄 뿐 아니라 생명진화의 역사나 생물 특히 진핵생물의 기원에 대해서도 많은
점
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즈는 2005년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린 인터뷰에서 생물학자가 되려는 학생들에게 아래와 같은 조언을 했다. “처음부터 생물학을 너무 진지하게 공부하지 마세요. 먼저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원자성(atomicity)’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세이어는 결정이 서로 떨어져 있는 작은
점
같은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라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결정 회절 패턴을 해석하는 ‘사이어 방정식’을 유도해냈다. 1985년 노벨화학상은 세이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결정구조를 해석하는 방법을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