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구원"(으)로 총 4,354건 검색되었습니다.
- 3D 프린팅으로 투명한 인공각막 만들었다동아사이언스 l2019.05.14
- 대체할 수 있는 인공각막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조동우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현지 연구원, 장진아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 김홍균 경북대 의대 교수팀이 공동으로 각막 조직과 줄기세포, 3D 프린터를 이용해 생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투명한 인공각막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눈의 가장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루궤이전, 니덤의 조수 혹은 스승2019.05.09
-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 ...
- [과학게시판] 중이온가속기 융합연구 MOU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19.05.09
- 과 김우승 한양대 총장이 MOU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IBS 제공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9일 한양대와 중이온가속기 분야 융합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중이온가속기 활용연구 장치이자 물질 성질을 연구하는 뮤온 스핀 공명장치 제작, 중이온가속기의 ... ...
- [과학게시판]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체험교육 外동아사이언스 l2019.05.08
- 선임연구위원이 '한국의 과학기술 ODA 전략 및 실행방안', 윤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원장이 '글로벌 포용성장을 견인할 V-KIST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9일 오후 2시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폐사율 100%, 어떻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생명력 질긴 A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나오나 2019.05.08
-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 ...
- 어린시절 무심코 먹은 항생제가 거식증·폭식증 유발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6
- 경우도 45%에 이르렀다. 연구를 이끈 로렌 브라이토프 조지메이슨대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항생제가 병원균뿐 아니라 유익한 균까지 죽이면서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뒤엎은 결과로 추측된다"며 "뇌와 소화기관 사이의 신경계에 영향을 줘 결국 식욕이나 식이행위를 조절하는 데에도 영향을 ... ...
- 발달장애인과의 상생, 기업들도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5
- 지난해까지 16명을 중앙도서관과 행정실 등에 고용했다. 길연희(왼쪽), 신희숙 ETRI 책임연구원이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을 위한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 ETRI ETRI는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을 도와 취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ETRI의 연구분야인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했다. ETRI 관계자는 ... ...
- 혼자 사는 사람은 정신장애 겪을 위험이 2배 높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2
- 수 있는 방법으로 활발한 대인관계와 반려동물 기르기, 심리치료 등을 제시했다. 쟈콥 연구원은 "다른 사람이나 동물과 상호작용하면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돼 외로움도 느끼지 않을 뿐 아니라 정신장애 위험도 낮출 것으로 추측된다"며 "실제로 코르티솔이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② 안구운동 보고 사시 검사하는 안과로봇동아사이언스 l2019.05.02
- 사시각 측정 의료로봇)’을 개발했다. 알고리즘은 신승학 한양대 의공학과 박사과정연구원이 개발했다. 안과 전문의가 진단하는 것보다 로봇이 진단하는 것이 얼마나 편하고 정확할까. 안타깝게 약한 외사시가 있음이 밝혀졌지만, 이번 기회에 직접 체험해 사시각 측정 의료로봇의 장점을 ... ...
-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2019.05.02
- 어금니 한 개에서 단백질을 분리해 해독했다. 프리도 웰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연구원은 “현생인류의 단백질에 의한 오염이 가장 큰 문제였지만, 화석 속 단백질은 잘게 파편화돼 분명히 구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해독된 단백질 정보를 바탕으로 턱뼈의 주인공이 ...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