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처분 매몰'에 멍드는 금수강산…호기·호열 매몰 방식 안전한가
포커스뉴스
l
2016.12.30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수분과 온도를 콘트롤하는 방법과 영양 균형은 어떤 식으로
조절
할지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는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정부 주장처럼 그렇게 빨리 분해가 이뤄져도 문제다. 그 많은 유기물들이 다 어디로 가겠는가. 결국 땅 ... ...
‘만병통치약’을 퇴치하고픈 여성 과학자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올렸다. 그는 “위암, 대장암, 갑상샘암 발병을 환경적 요인으로
조절
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관관계가 암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 아들에게 롤 모델이 된 엄마 과학자 WISET 제공 ... ...
[2017 신년기획_그것이 알고싶닭] ① 산란계? 육계? 무엇이 다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평균 체온은 40.6~41.7℃ 사이입니다. 닭은 몸 전체가 깃털로 덮여 있고, 땀샘이 없어 체온
조절
을 잘 못해서 열에 취약합니다. 닭은 고열에 약한 동물이다. - (주)동아사이언스(이미지 소스:GIB) 제공 양계장 온도가 26.7℃가 넘으면 닭은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합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 ...
"인공지능이 메르스 등 감염병 예방" 10대 미래기술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유전자의 발생 및 분화 과정에 개입해 원하는 세포를 제작하는 후성유전학적 발생 분화
조절
기술 역시 질병 치료와 생명 현상 이해에 기여하리라 기대됩니다. 세포 내 유전자를 편집해 희귀 유전병을 치료하는 유전자 가위 기술은 더 말할 필요가 없겠죠. 이들 10대 기술은 바이오 분야 국내외 ... ...
인체에 치명적인 ‘염증 반응’ 억제할 방법 새롭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동물분자유전육종사업단의 이학교 단장은 “새롭게 밝혀진 자가포식의 염증 반응
조절
기전은 급성 감염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 질환 치료 연구의 원천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2017 CES] IT로 모든 분야 '접근'…'음성·VR·교통·의료·스포츠'
포커스뉴스
l
2016.12.26
에코’다. 궁금한 것을 물으면 위키피디아에서 찾아 대답하며, 음악을 재생하고 볼륨
조절
이 가능한 클라우드 베이스의 기계다. 이용자의 패턴을 자체적인 아마존 서버에서 빅데이터가 쌓여갈수록 기기가 똑똑해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 소비자행동조사 및 분석기관 컨슈머 인텔리전스 리서치 ... ...
고통스러운 '통풍', 벌집의 프로폴리스 성분으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연구한 CAPE는 NLRP3가 불러오는 단백질 중 ASC라는 것과 결합했다. 그 과정을 통해 염증
조절
복합체가 형성되는 것을 막았다. 이번 연구 결과로 통풍의 근본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통풍은 주로 발 부분 관절에 요산이 많이 쌓이며 나타나는 질병으로 회식이 잦은 40~50대 ... ...
[카드뉴스] 눈결정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1936년 최초로 실험실에서 눈결정을 만드는데 성공했습니다. 온도와 습도의 조건을
조절
해 눈결정 형태학 도표(나카야 도표)를 완성했죠. 나카야 도표를 살펴보면 온도와 습도에 따라 눈결정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과학자들이 여전히 온도에 따른 눈결정의 형태 ... ...
[개소리 칼럼 10] 물건을 망가뜨리는 강아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집념이 결국 성공할 때가 있습니다. TV나 책을 보느라 개가 무는 것을 잊었는데 개가 힘
조절
을 못해서 아프게 물 때가 있습니다. 특히 유치는 날카로워서 상처가 날 수도 있습니다. 바로 그 순간, 바로 그 때 야단을 쳐야 합니다. 지체해서도 안되고 기다렸다가도 안됩니다. 야단칠 도구는 항상 손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1960년 발표한 논문에서 식물을 먹으로 하는 초식동물의 수는 결국 포식자에 의해
조절
되므로 녹색세계가 유지되려면 포식자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1963년 페인은 워싱턴주 마카 만 해변에서 폭 8m인 구역을 설정한 뒤 최상위 포식자인 오커불가사리를 잡아들였다. 우리가 익숙한 불가사리는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