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약"(으)로 총 3,450건 검색되었습니다.
- 50년 후 로봇도 세금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오늘 설사하지 않았니?” “벌써 두 번이나 했어요.” “아무래도 식중독 같다. 점심을 잘못 먹은 것 같은데. 처방전을 써 줄 테니까 약을 먹으렴.” {tIMG_c13}2009년이 되면 병원에 갈 필요 없이 집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원격진료시스템’이 구축된다. 컴퓨터나 TV를 통해 의사와 이야기하고 맥박, 혈압, 체온, 상처부위 등을 검사해 ...
- 우주로 이사 가는 날! (1)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찾는 연구가 시작되었고, 1995년에 태양과 비슷한 별인 페가수스자리의 51번 별 주위에서 외계 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된 후 지금까지 약 200개 정도의 외계 행성이 발견됐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구와 비슷한 질량을 갖고 있으면서 단단한 암석질로 이루어져 있는 지구형 행성은 없다. 그래도 반가운 건 과거에는 주로 목성 정도로 큰 가스형 행성들이 발 ...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2)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위치를 알려 줄 뿐만 아니라, 내가 있는 곳까지 오는 가장 빠른 길도 알려 준다. GPS의 두뇌, 위성 위성이 없으면 GPS도 없다. GPS 위성은 약 2만㎞ 상공에서 24시간에 두 번씩 지구 주변을 돌고 있으며, 총 24개가 활동중이다. 위성이 하나만 있다면 내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를 확인할 수 없다. 예를 들어, 1월 1일 오전 7시 ...
- 산만한 말썽꾸러기, 혹시 나?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알려 주는 부모 교육도 함께 하지요. 하지만 이렇게 약을 사용하지 않는 치료만으로는 뇌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약물 치료를 기본으로 심리·행동 치료를 함께 해야 합니다. 엄마, 아빠 읽어 보세요 우리아이 어떻게 대해야 할까? 지나치게 산만하고 모든 일에 건성건성, 내 이야기를 듣고 있기는 한 건지 도대체 알 수 없는 ...
- 건강한 이로 미소천사가 되자~!어린이과학동아 l20061129
- 중간에 간식을 먹고 나서도 곧바로 양치질을 해야 해요. 이에 음식 찌꺼기가 남으면 곧바로 뮤 탄스가 활동하기 때문에, 음식을 먹고 약 5분 후부터 입안의 산도가 높아지거든요. 칫솔질을 할 때는 윗니와 아랫니를 따로 닦아야 해요. 윗니는 위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듯 닦고, 아랫니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닦아야 하지요. 또 앞니의 안쪽은 칫솔모를 세워서 ...
- 내 뱃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삶은 감자와 35℃ 가량의 따뜻한 물, 당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다. 삶은 감자는 둘로 나누어 한 쪽은 잘 으깨 두고 다른 한 쪽은 약 3분 가량 잘 씹어 두자. 어떻게 변했을까? A컵에 넣었던 검사지는 변화가 없는 반면 B컵에 넣었던 검사지는 보라색으로 변했다. 왜일까? 그냥 으깨기만 한 감자와 물을 섞은 A컵에는 원래 감자에 있던 녹말만 ...
-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 Ⅱ어린이과학동아 l20061013
- 어떤 실험을 할까요? 이번에 뽑히는 우주인은 2008년 4월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가요. 이 곳에서 약 일주일을 머물며 과학실험 등 임무를 수행하지요. 국제우주정거장은 모든 것이 둥둥 떠다니는 무중력 상태예요. 그래서 지구 위에서 할 수 없는 과학실험을 할 수 있답니다. 그럼 한국 최초우주인이 우주에서 할 실험 ...
- 3짱 프로젝트-살은 왜 찌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012
- 햄버거나 피자로 한 끼를 먹는 것은 다릅니다. 친구들이 좋아하는 햄버거나 피자, 돈가스, 자장면은 한식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보다 약 2배 많은 에너지가 들어 있어요. 또 간식으로 먹는 과자는 한식 한 끼에 맞먹는 에너지를 갖고 있지요. 이렇게 같은 양을 먹더라도 많은 에너지를 갖고 있는 달고 기름진 음식이 살을 찌게 만듭니다. 컴퓨터와 TV 컴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것도 지금으로부터 600만 년전이다. 암세포도 세포? 암세포도 원래는 정상세포였다.단지 식욕이 엄청나게 왕성할 뿐이다. 사람의 몸은 약 60조 개의 세포로 만들어진다. 한번 만들어진 세포는 사람이 늙고 병드는 것과 똑같이 태어나서 죽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때 새로운 세포가 오래되고 병든세포의 자리를 채우는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화롭게 성장한 ...
- 2 놀라운 세상 - 신비한 숫자 2의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콧구멍은 오른쪽 허파와 서로 짝을 이뤄 호흡 활동을 한답니다. {BIMG_r10}허파 콧구멍이 2시간마다 일을 하듯이 콧구멍과 연결된 허파도 약 2시간 단위로 오른쪽 허파와 왼쪽 허파가 교대로 일을 한답니다. 번갈아 가면서 쉬는 것이죠. 휴식 중인 허파는 일하는 허파 호흡량의 10~20%라고 해요. {BIMG_c11} 눈 눈이 두 개인 이유는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