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쌓은 사운딩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85%나 국산화에 성공한 인도의 자부심이었다.1979년
최초
의 발사에서 비록 실패했지만 1980년 7월 SLV-3-E-02에서 인도는 로히니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하는데 성공해 세계에서 7번째로 스페이스 클럽에 포함됐다. 이후 SLV-3을 바탕으로 발전된 5단계의 ASLV를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결과를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거미 없이도 거미 실크를 만드는 실험에
최초
로 성공했다는 내용이었다. 한편 올해 8월 필자는 거미 실크가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밝혀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여기서 거미 실크란 거미줄을 가리키는 말이다.흔히 거미줄이라고 하면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RNA는 그것의 '전사·번역도'인 셈이다한 개의 칩위에 10만개 이상의 소자가 집적된 회로
최초
의 VLSI는 64KDRAM이다 현재 4M(메가)DRAM까지 개발돼 있다마하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제트엔진으로 터빈이 없다 속도가 빨라 터빈을 사용하여 공기를 압축해줄 필요가 없기 때문 이 압축공기 내에서 ... ...
이런 노벨상도… 2003 '엽기 노벨상' 닭도 미녀를 사랑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하는 것이 아닌가. 묄리커는 이 사건을 정리해 ‘물오리에서 죽은 동성과의 교미에 대한
최초
의 사건’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한 덕분에 생물학상을 받았다.이 밖에 올해 이그 노벨상에는 진짜 노벨상과 같은 분야도 있다. 물리학상, 화학상, 의학상이 그것이다. 존 컬버너 박사를 비롯한 7명의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모두 소화해낸
최초
의 비행선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일본의 LAS 비행선을 제치고 세계
최초
의 자가발전 전동 모터 추진 방식의 초대형 무인비행선으로 기록될 전망이다.앞서 언급한대로 성층권 비행선을 이용할 경우 경제적 효과는 매우 크다. 우선 지상에서 20km 상공에 체공하며 신호를 주고받기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말이다.녹색대학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과학과 문명을 실현하고자 설립된 국내
최초
의 대안 대학이다. 환경과 인간을 파괴해온 현대 문명을 치유해나갈 녹색 전도사를 양성하는 일이 목표다. 그런데 까다로운 조건이 있다.“녹색대학을 졸업하려면 최소한 뉴턴과 아인슈타인 정도는 짚고 ... ...
우주로켓의 선조 V-2 부활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빙클러가 만든 액체로켓이 유럽
최초
로 발사에 성공한다. 이것은 미국의 고다드가 세계
최초
로 액체로켓 발사에 성공한지 5년 후의 일이었다. 고다드가 혼자 비밀리에 연구를 진행한 반면 독일의 VfR은 연구비를 벌겸 돈을 받고 로켓발사광경을 일반인에게 공개했다.1932년까지 VfR는 87회의 발사와 2백7 ... ...
정보통신에 뿌리내리는 한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가져오고 있다.우리 민족은 일찍이 선사시대 이전부터 한국말을 갖고 있었으며, 세계
최초
금속활자를 고려 우왕 3년(1377)에 개발해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을 간행했다. 독일의 구텐베르크 성경(1455)보다 훨씬 앞선 일이다. 세종대왕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음소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했다. ... ...
한국형 고속전철 시속 3백km 돌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속도와 가속도를 제어하는데 전력용 반도체소자(IGCT, Integrated Gate Commutated Thyristor)를 세계
최초
로 적용했다.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인 주변압기는 경부고속철에 비해 용량은 20% 정도 큰 반면 무게는 15% 정도 줄였다.안전성 면에서는 제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마찰과 전기제동의 브레이크에 ‘첨단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유성우의 근원이 된다.오리온자리 유성우는 그 관측 역사 또한 대단히 오래됐다.
최초
의 기록은 서기 288년 중국의 것으로 보인다. 문헌에는 ‘이날 비처럼 유성이 떨어져 내렸다’고 쓰여 있다. 그 뒤에도 수차례에 걸쳐 문헌에 기록되었으며 특히 1400년대에 많은 기록이 남아 있다.오리온자리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