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차
차량
탈것
카
승용차
수레
티
d라이브러리
"
차
"(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라크전 임박 계기로 본 미래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시험을 거친 합동직격탄(JDAMS). 목표물에 평균 30m 이내의 오
차
로 명중할 정도로 정확도가 높고 고공 원거리 발사가 가능해 미군 폭격기 조종사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건물에 투하된 뒤 몇층에서 폭발할지를 알아서 계산하는 ‘BLU_31’과 건물 내부나 지하 공간으로 뚫고 들어가 ... ...
네트워크로 해석한 인터넷 대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KT 혜화전화국 DNS 서버가 다운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가 심각한 장애를 받은 경우라고 1
차
적으로 얘기할 수 있다.이제 시카고 공항의 경우보다 좀더 심각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시카고 공항이 폭설이 아니라 테러리스트의 소행으로 폐쇄됐다고 가정하자. 테러리스트는 9.11 사태와 같이 ... ...
멸종 위기에 처한 식용 바나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신종 살균제에도 큰 저항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INIBAP는 주로 딱딱한 씨로 가득
차
먹을 수 없는 야생 바나나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5년 내에 바나나 유전자 지도를 밝혀낼 방침이다. 프리슨 박사는 “바나나 게놈에 대한 연구는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바나나보다 아프리카인들이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제작·사용된, 우주대포에 가까운 최초의 대포는 독일의 ‘파리 대포’(Paris Gun)였다. 1
차
세계대전 중에 사용된 이 대포의 경우 포신의 길이가 34m이며 포탄이 고도 40km까지 도달했다. 통상 우주공간이 시작된다고 보는 고도 1백km의 절반쯤 도달한 셈이다. 2
차
세계대전 때에는 1백40m짜리 슈퍼건 V-3이 ... ...
[KAIST] 운전자까지 포함한 원전 디지털화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차
세대 원전은 완전 디지털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전까지는 디지털 방식의 범위를
차
츰 늘려갈 계획이다. 1999년 우리나라 최초의 원전인 고리1호기의 계측제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면서 디지털 방식이 처음으로 적용됐다.연구실은 디지털 방식의 계측제어 시스템 개발뿐 아니라 이 시스템의 ... ...
③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영화 감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지난해 개봉해 인기를 끌었던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는 주인공 톰 크루즈가 가족과 찍은 동영상을 일반적인 디스 ... 두루마리 전자신문 디스플레이 혁명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②
차
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③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영화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지우기도 한다. 하지만 잉크를 세밀히 조사해보면 이같은 속임수는 금방 알아
차
릴 수 있다. 잉크는 기본적으로 색깔을 내기 위한 색소와 그 색소를 담기 위한 용해제로 구성된다. 종이에 글씨를 쓰면 색소는 종이 표면에 남지만, 용해제는 섬유질 속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색소는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정성적(定性的)인 성질에 있어서 보통의 물과 거의 다르지 않지만, 정량적으로는 큰
차
이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적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낮다 생물의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밝혔다.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자치료는 1995년 처음 시도돼 수건이 학계에 보고돼 있다.
차
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정형민 소장은 “다른 치료 수단을 모두 사용해도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만 유전자치료를 해야 한다”면서 “임상시험 전에 안전성을 확보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를 받아야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단계를 거친다. 팔레르모 교수가 만든 인공 난자는 정자와 만나 수정란이 된 후 한
차
례 분열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박 소장은 실험결과 난자가 수정란이 된 후 체외수정이 가능한 배반포기 단계까지 분화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한편 난자를 만드는 것처럼 미래에는 정자도 인공적으로 체세포를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