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색’ 수소 만드는 인공 잎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모방해 수소를 생산하는 인공 잎이 개발됐다. 중국 상하이 지아오통대 금속복합재료
연구소
통지앙 팬 박사팀은 녹색 식물의 잎 구조를 본떠 수소를 추출하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영국에서 발행되는 과학 잡지 ‘뉴사이언티스트’ 1월 9일자 인터넷판에 소개했다.연구진은 쌍떡잎식물의 일종인 ... ...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벽두 새벽을 태평양에서 맞았다. 김현율 선장(52·사진)을 비롯해 아라온호의 선원과 극지
연구소
소속 연구원 28명은 이른 아침 떡국을 나눠 먹으며 임무 성공을 기원했다. 지난 1월 8일 아라온호는 남극으로 가는 관문 4곳 가운데 하나인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항구에 입항해 현지 주민으로부터 큰 ... ...
통합적 추론문제 풀이의 길잡이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서울대학교 2010 정시모집 논술고사 pdf보기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앞두고 아이들은 세뱃돈 받을 생각에 기분이 들뜨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주머니가 얄팍해진 어른들은 세뱃돈을 얼마나 줘야 할지 고민입니다. 이처럼 설에 주고받는 세뱃돈은 오랜 풍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부터 세뱃돈에 얽힌 수학 이야기를 찾아 떠나 보도록 해요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일본 타마동물원과 미국 샌디에고 동물원의 정자은행이 그 예죠. 미국의 페이텍스
연구소
는 이 방법으로 이미 중국에서 멸종된 너구리 팬더를 복원했답니다" 박형선 (한국생물다양성정보기구책임연구원)작년 1월 영국의 과학잡지 ‘뉴 사이언티스트’는 DNA 샘플이 남아 있어 복원 가능성이 높고 ... ...
3. 차이가 만드는 요리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맛있는 동태전은 마찰력 덕 명절 때면 부엌은 온통 기름 냄새로 가득하다. 어머니의 몸과 옷에도 기름 냄새가 잔뜩 배어 있다. 명절 음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전을 만들고 계시기 때문이다. 동태전, 호박전, 부추전, 꼬치전 등 어머니의 손길이 지나간 자리에는 색깔도 다양한 전이 하나둘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발사하는 모습. ▲ 물을 증발시키며 달리는 초공동 어뢰의 상상도. 국내에서는 국방과학
연구소
와 연세대학교 윤웅섭 교수 연구팀 등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연구팀이 실험실에서 초공동화 현상을 일으킨 뒤 찍은 사 진. 이동하는 물체 주위로 투명한 수증기막이 생겨 ... ...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일진상 수상자 발표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통해 대중에게 과학기술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했으며, 안승준 전무는 삼성전자 인재개발
연구소
장으로 국내 여러 대학교에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실무형 인재를 양성했습니다. 한편, 일진상의 최영락 교수는 20년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과학정책에 공헌했고, 손욱 회장은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한 명이 아니라 임상시험에 참여한 8명 모두 효과를 봤다. 영국 북동잉글랜드줄기세포
연구소
(NESCI) 프랜시스코 피구에이레도 박사(사진 오른쪽)팀은 화학약품이 묻는 사고 등으로 각막이 손상돼 시력을 잃은 눈에 정상 눈의 각막에서 얻은 각막윤부줄기세포를 배양한 뒤 이식해 시력을 회복시켰다.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드디어, 2007년 4월 7일 발견돼 ‘2007bi’로 명명된 초신성 폭발에서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아비샤이 갈-얌 박사팀을 비롯한 다국적 팀이 ‘쌍불안정성 초신성’의 증거를 발견했다. 2007bi는 지구에서 약 16억 광년 떨어져 있다. 즉 16억 년 전에 일어난 폭발을 지금 바라보고 있는 셈이다. 워낙 거리가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