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무서운 장면이 나타나기 약 10초 전에 전대상피질(ACC)이 활성화됐다. 이 부위는 무엇인가 집중하거나 충동적으로 내리는 결정을 담당한다. 모스브릿지 박사는 “전대상피질은 가까운 미래에 또는 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일어날 수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추정해 보면, 지난 2000년 동안 규모 6.7의 큰 지진은 약 20회, 5.0 이상의 지진은 약 350회 발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라고 믿은 것은, 계기관측을 시작한 1904년 이후 큰 지진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역사 기록에는 큰 지진이 많이 등장하는 만큼 역사지진 ...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활동이 제약됩니다. 야간에 활동하거나 실내에만 있어 피부가 창백하고, 잇몸이 약해져 평범한 이가 마치 송곳니처럼 보이기도 하죠. 더구나 헤모글로빈이 부족해 만성 빈혈에 시달리게 됩니다. 워낙 뱀파이어의 특징과 비슷한 점이 많아 ‘뱀파이어 병’이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하지만 이 질환을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더 빨리 가속할 수 있고, 더 빨리 정지할 수 있다.600개의 센서로 안전하게 해무-430X에는 약 600개 정도의 센서가 있어서 열차의 바퀴에 가해지는 힘이나 열차의 흔들림 등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다.][인터뷰 : 2020년엔 해무를 만날 수 있어요!최성훈(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철도연구본부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각까지 이어진 이 조각을 ‘판’이라고 해요. 10개의 큰 판과 작은 판들을 합쳐 약 20개의 판이 있답니다.판들은 한자리에 가만히 머물러 있지 않아요. 마치 물 위에 뜬 나무판자처럼, 맨틀 아래쪽의 움직임에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고 있어요. 어느 곳에서는 판이 생겨나는가 하면, 또 어느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귀여운 애완동물, 햄스터 기르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마 햄스터를 애완동물로 기르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저도 햄스터를 기르고 있는데, 기사를 쓰는 중에도 제 햄스터는 열심히 해바라기 씨를 ... 무리하게 핸들링을 할 경우 햄스터가 스트레스를 받아요.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으면 약 3년의 수명도 더 짧아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런던에서 서쪽으로 약 130km 떨어진 솔즈베리 평원에는 ‘스톤헨지’라고 불리는 유명한 관광 명소가 있습니다. 거대한 돌기둥이 원형으로 늘어서 있는데, 계절과 시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줘 신비의 돌이라고 불립니다.사실 스톤헨지보다 규모는 작지만 이렇게 돌기둥이 둥글게 세워져 있는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걸린다. 우리가 보는 태양빛은 태양의 약 8분 전 과거 모습을 보여주는 셈이다.그런데 만약 우주가 탄생했을 때의 모습을 간직한 빛을 관측할 수 있다면 어떨까? 빛이 8분 동안 우주를 달려 태양의 과거 모습을 우리에게 알려준 것처럼, 초기우주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빅뱅 이론에 따르면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부딪치면서 생기는 시공간의 잔물결이다.급팽창이 있었던 시기(우주가 탄생한 지 약 10-35초 뒤부터 10-32초)는 미지의 문에 가려져 있었다. 아직 빛이 우주로 퍼지기 전이라 이를 직접 관측할 수 없었다. 중력파로 지금까지 베일에 싸여 있던, 빛으로는 볼 수 없었던 초기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다 ...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테라헤르츠파는 각기 신호가 달라진다. 게다가 전파가 종이와 종이 사이에 존재하는 약 20μm의 빈 공간을 지나는 동안 반사와 굴절이 일어나면서 각 페이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연구팀은 이 신호를 수신한 뒤 알파벳으로 변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20페이지 중에서 9페이지에 ...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