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학"(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는 이번 회를 마지막으로 연재를 종료합니다. 더 재밌는 연재로 찾아올게요! 바둑판과 바둑알로 꼭 바둑만 둘 ...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 중이며, ‘감성수학레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코딩에 도전하자, 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를 위해 상당한 공을 들인다. 넥슨 개발자들이 직접 출제위원으로 참여하고, 대학의 수학과 교수 등 연구자들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NYPC 전용 문제를 고안한다.넥슨의 인기 게임에서 아이디어를 얻기도 한다. 지난해에는 온라인게임 ‘마비노기’에 나오는 캠프파이어를 소재로, 유저들이 ... ...
- 이윤진 이화여대 입학처장 - “자신의 역량 집중할 전형 찾아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정시모집경쟁률은 4.71대 1(총 모집인원 927명, 지원인원 4363명)이었다. 이윤진 입학처장(수학과 교수)을 만나 이화여대의 인재상을 들어봤다.학생의 다양성 고려한 입학전형“개인의 인격과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나눔과 섬김을 바탕으로 인류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지도여성 양성을 목적으로 ...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프로그램 - 코딩은 기본, 학부에서 대학원 수준 실험 원자핵공학과는 1~2학년 과정에서 수학과 물리 등 공학기초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전공은 3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가르치는데, 공대 내 다른 학과에 비해 실험과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많은 편이다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8] 자기소개서, 어떻게 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학생이라면 자기소개서 1번인 학업 관련 문항에 답할 때 공학계열 학과의 필수과목인 수학, 물리에 대한 경험을 우선 고려해봐야 한다. 다음으로 진로는 학생의 발전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하고 싶은 일이 명확한 학생의 경우 전공 커리큘럼 및 졸업 후 진로 조사를 통해 진로를 더욱 ... ...
- [교과연계수업] 별이 되어 떠난 천재 과학자, 스티븐 호킹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장학생 시험을 쳤지만 보기 좋게 떨어지고 세인트 올번스 스쿨에 진학한다. 호킹은 수학자가 되고 싶었지만 아버지가 강력히 반대하며 의학이 정 싫으면 화학을 전공하라고 회유했다. 1959년 옥스퍼드대에 진학한 호킹은 물리학을 택했다. (중략) 한편 호킹은 옥스퍼드대 졸업반 때부터 몸놀림에 ... ...
- 한눈에 보는 수학동아 교과 단원 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
- Intro. 2018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세계수학자대회(ICM) 개막식에서 열립니다. 수학의 미래를 이끌어갈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는 누가 될까요? 역대 필즈상 수상자를 통해 2018 필즈상 수상자도 점치고, 브라질 ICM도 미리 엿보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18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공부할 수 있도록 지원했고, 1980년에는 일본에서 ‘유겐 클럽’이라는 모임을 만들어 수학에 관심 있는 학생을 위한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나중에는 미국과 한국의 학부생을 위한 세미나도 만들었지요. 필즈상 후보로 거론되는 허준이 박사도 이 세미나에서 지도한 아버지의 제자입니다. 지금은 ... ...
- Intro. 예술의 도시에서 수학을 만나다. 파리의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어디선가 흘러나오는 음악이 귀 기울이게 하고, 발걸음을 옮기는 곳마다 웅장한 건축물이 시선을 뺏어갈 때면 프랑스 파리가 예술의 도시라는 게 실감납니다. 멋진 건축물 사이에 ... ‘no wall’ 프로젝트Part 4. 프랑스, 수학의 성지가 된 비결?Part 5. 연구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수학의 ...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