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작어린이뮤지컬 원자야, 고마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결국 안드로와 셀파는 지구에서 어떤 방법으로 에너지를 만드는지 조사하기 위해
빛
의 속도로 1만 년 동안 날아왔다. 도착한 곳은 보람이의 방. 장난감 곰돌이와 생쥐, 로봇 그리고 미미는 안드로가 쏜 광선총에 맞아 몸이 커졌다. 이들은 곧 친구가 되고, 보람이 아빠의 컴퓨터를 이용해 에너지 ... ...
아름답게 다시 태어난 전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손거울, 교자상 등 갖가지 용도와 모습으로 만들어집니다.
빛
을 받으면 영롱한 무지갯
빛
을 내는 모습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서 이미 삼국시대 때부터 사용되었답니다. 예술성이나 튼튼함에 있어 우리나라 나전칠기를 으뜸으로 쳤다고 해요.나전칠기를 만드는 과정은 무척 복잡합니다.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턱과 날카로운 이빨을 갖게 됐어. 또 희미하나마
빛
이 들어오는 곳에 사는 생물들은 몸을
빛
나게 해 적의 눈에 띄지 않는 방법을 쓰지.바다의 힘을 느끼다태평양을 지날 때는 날씨가 좋지 않았어. 수면 가까이 잠수하고 있던 노틸러스호는 금세라도 부서질 듯 파도에 흔들렸지. 평소에 멀미를 하지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공기층을 통과하면 이상한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눠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
빛
이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이상굴절을 일으켜 도깨비불처럼 보일 수 있다. 동양 귀신 대표 ➋ 처녀귀신하나같이 다 칠칠치 못하긴. 얘기를 들어 보니 정말 한심하군. 진짜 무서운 귀신은 나처럼 ... ...
건강한 눈, 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물체는 선명하게 보이지만 먼 곳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아요. 원시원시는 근시와 반대로
빛
이 망막 뒤에 맺히는 것입니다. 보이는 것도 근시와 반대로 가까운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 않지만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요. 난시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일정하지 않아 초점이 두 개 혹은 더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육각기둥 모양의 결정을 갖잖아. 분명 석영으로 이루어진 수정일 거야. 이걸 봐! 붉은
빛
이 찬란한 루비군. 루비는 단단한 강옥으로 만들어지지. 그렇다면….”에스메랄다의 얼굴이 갑자기 환해졌다. 의기소침해져 있던 하녀도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깨순이는 어떻게 진짜 다이아몬드를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관찰하는 광학현미경은 이론적으로 360나노미터보다 작은 물체는 볼 수 없어요. 하지만
빛
대신 전자빔을 사용하는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은 최고 200만 배의 배율로 0.12나노미터의 크기도 구별할 수 있지요. 특히 초고압투과전자현미경은 다른 나라의 투과전자현미경과 달리 ... ...
달콤함 뒤의 쓴맛 '시차적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6시간 빨리
빛
을 비춰 기상 시간을 앞당겼고, 두 번째 그룹은 매주마다 6시간 늦게
빛
을 비춰 기상시간을 늦췄다.8주 뒤에 나이든 쥐의 생존율을 살펴 본 결과 정상 쥐는 87%가 살아남았다.그러나 기상시간이 6시간 늦은 그룹은 68%, 6시간 빠른 그룹은 47%밖에 살아남지 못했다. 나이가 어린 쥐의 ... ...
별똥별 쇼가 펼쳐지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발견과 그것을 정육면체의 배적(倍積)문제의 해결에 이용한 것으로 유명하다이 밖에 햇
빛
오목거울에 관한 연구와 집필, 구를 평면에서 일정한 비율로 베어내는 문제 등을 해결했다246~330 고대 알렉산드리아에서 활약한 그리스의 수학자 대수학의 아버지라 불린다특히 정수론(整數論)에 공헌이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진동수가 변하는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
에 관하여 별의 운동방향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할 때 각 쌍의 유전자 분리 · 재결합이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