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예비훈련을 위해 발사된 소유즈 1호는 기술적인 문제로 임무를 중단한 채 귀환하는 도중
마지막
착륙과정에서 낙하산이 펼쳐지지 않아 1명의 우주비행사가 사망했다. 이러한 잇딴 사고는 먼저 달을 정복하겠다는 두나라 과학기술자들의 스트레스에서 비롯됐는지도 모른다. 러시아에서는 미국을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것이다.그러나 공기가 없는 우주 공간에서는 전혀 그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영화의
마지막
클라이막스에서 아나킨 스카이워커와 무역 연합의 우주선들이 비행을 할 때 왼쪽 날개를 들며 오른쪽으로 도는 것은 그저 멋을 부리기 위한 ‘옥의 티’다.⑥ 반중력 비행선 랜드스피더의 원리는?'스타워스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할 수 없을 만큼 커다란 갈색왜성(Brown dwarf, 질량이 비교적 적은 별이 거치는 일생의
마지막
단계)들도 확인됐다. 발견된 행성들은 아주 다양하다. 지구보다도 질량이 작은 행성부터 목성 질량의 10배 이상되는 행성도 있다. 궤도도 수성보다도 별에 더 근접해서 돌고 있는 행성도 있고 명왕성보다도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45년 우라늄 235와 플루토늄 239를 충분히 확보한 과학자들은 이를 어떻게 폭탄으로 만들지
마지막
고민을 해결해야 했다. 임계질량을 가진 핵연료를 한곳에 모아두었다가는 적국에 싣고 가기도 전에 대기 중에 존재하는 중성자에 의해 스스로 폭발하기 때문이다.그래서 두가지 방법에 의해 폭탄을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의 그림에는 간단한 선들만 남는다. 그리고 종국에 나무는 수평선과 수직선만 남았다.
마지막
의 단계에서 나무는 수직선 하나로 표현될 뿐이다. 이 수평선과 수직선을 조형적 미감에 따라 배치한 것이 우리가 흔히 보는 ‘적 황 청과 흑의 컴포지션’(22)과 같은 그림이다.나무도 사람도 직선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쓰시마해류의 유입이 적었음을 뜻한다.한반도 주변의 대륙붕에 쌓인 퇴적물은 제4기의
마지막
빙기 때 형성된 것이다. 이 퇴적물을 조사하면 당시의 환경, 지리, 해류의 흐름 등을 이해할 수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그런 연구는 많지 않다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쉰들러(1908-1974)에 의해 극적으로 구출된 사람도 있었다. 그래봤자 고작 1천여명이었다.
마지막
그룹은 실험용으로 쓰일 쌍둥이와 난쟁이들로 ‘죽음의 천사’로 불린 요제프 멩겔레(1911-1985?)에게 넘겨졌다.아우슈비츠 포로들 사이에서 가장 악명을 떨친 사람은 나치스 친위대 의사였던 멩겔레다.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미리 알고 있다. 별의 질량이 그것을 말해준다.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들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백색왜성이 된다. 그러나 죽기 직전 별의 질량이 태양의 1.4배 이상인 별은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계속 일어나 철과 같은 무거운 원소들이 중심핵을 이루며 물질을 끌어당긴다. 고밀도의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터널 중심부의 밝은 부분은 빛이 터널 끝을 향해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유발시킨다.
마지막
으로 5단계(빛 속으로 들어가기)에서 임사체험자는 터널을 빠져나와 빛 속을 향해 들어가면서 아름다운 꽃이 가득한 별천지에 온 듯한 느낌을 받는다. 가끔 황홀한 천상의 음악이 들려오기도 한다. 죽은 ... ...
인도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외국탑재물인 우리별 3호를 싣고 올라감으로써 국제무대에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마지막
으로 1994년부터 개발 중인 GSLV는 길이 51m, 무게 4백t의 정지궤도 위성발사체로 2천kg의 탑재물을 쏘아올릴 수 있다.군사력을 키우기 위해 우주개발을 시작한 인도는 1992년부터 서서히 상업화하는데 눈을 돌리고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