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4일 최대이각일 때 반
달
모양으로 보이며, 이 시점을 지나면서 점차 크기도 커지고 초승
달
모양으로 바뀐다. 이런 금성의 위상변화는 극적이어서 1주일 간격으로 계속 관측해보면 상당히 드라마틱한 변화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금성 때문에 10년간 고생한 사나이금성에 대한 수많은 일화가 ... ...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사업자로 국내 제약회사 녹십자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공장 설립을 총괄하는 엄
달
호 부사장은 “2007년까지 설비 구축을 완료한 뒤, 2009년부터 독감백신을 수출 포함해 5000만명분까지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 두번째로 수두백신을 개발한 박송용 상무는 “우리도 독감백신을 자체 생산한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6초 | 뮤온의 수명. 660m 움직일 수 있지만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라 수명이 늘어나 지상에 도
달
0.1초 | 눈한번깜박이는데 걸리는 시간0.47초 | 박찬호가 던진 공이 타석에 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1.3초 | 디지털카메라를 켜고 끌 때 걸리는 시간9.77초 | 자메이카의 아사파 파월이 갱신한 육상 남자 100m ... ...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또 태풍은 반경이 800km에
달
할 때도 있어서 태풍의 중심에 아직 도
달
하지 않더라도 진행방향의 수백km 앞에 강력한 바람과 강우로 인해 바다는 이미 많은 부분 냉각돼 있고, 이 위를 태풍 중심이 지나가면 세기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해양의 수온이 태풍을 약화시키는데 반해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0족 기체의 발견으로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는 완성됐고, 왜 원소의 반응성이 족에 따라
달
라지는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했다.레일리는 아르곤을 발견하고 그 성질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4년 영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레일리는레일리는 1842년 ... ...
"살찐 게슈타포 구출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모여 있는 과학발명반과 과학동아리가 있습니다. 과학발명반은 2003년 4월‘과학의
달
’을 맞아 대학로에서 개최된‘거리과학축제’에 참가하여 체험부스를 운영하였고 서울북부교육청에서 주관한‘2003 과학한마당’에서도 체험부스를 운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습니다.여학생들이 중심이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이 신호를 수신한 잠수함은 초장파 통신이 가능한 물 높이로 부상해 작전 내용을 전
달
받는다잠수함은 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관성항법장치(INS)를 이용해 항해한다 그리고 수면 가까이에 부상하면 정확한 위치보정을 위해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12}{C}$) 원자의 1/12을 1
달
톤으로 정의한다 수소 원자는 1
달
톤이며 아미노산 1개는 약 1백10
달
톤에 해당한다펨토(femto)는 ${10}^{-15}$을 나타내는 접두어 15를 의미하는 덴마크어 femten에서 유래했다 몰(mole)은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다 탄소($^{12}{C}$)에 아보가드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그 순간의 생각과 그 순간의 느낌을 세계 어디에 있든 상대방에게 실시간으로 전
달
한다. 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내가 원하는 순간만 골라서 남길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는 맘에 들지 않는 순간을 손쉽게 지우고 새로운 순간을 포착해낸다.1997년 미국의 캘리포니아주립대 심리학과 로버트 레빈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학교 다닐 때 이 동아리에서 잠깐 활동했죠. 그걸 알게 된 학생들이 지도교수를 맡아
달
라고 찾아왔더군요. 어떻게 거절하겠어요.”이제 김 교수는 혈관과 신경 연구를 확대해 질병을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뇌혈관 생성 과정을 밝히면 알츠하이머, 뇌졸중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