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왜 소
나무
가 흔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한국인과 가장 관련이 깊은
나무
라면 단연 소
나무
를 들 수 있다. 인가 주변이나 산에 가장 많은 게 소
나무
이고, 우리 조상들이 그린 산수화에도 단골로 등장하 ... 도움없이 수백년을 유지하는 '춘양목'을 산출하는 수종이다. 수종개량을 해서 좋은 소
나무
를 울창하게 가꾸는 일은 필요하다 ... ...
설악산의 꽃과
나무
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1천종이 넘는 화려한 식물들의 세계 너도바람꽃 한라돌쩌귀 등 희귀식물이 56종남방계식물과 북방계식물이 만나는 곳 연중 5,6개월이 눈으로 덮여 있다고 ... 입목축적 13만6천6백12t에 달해 전체식물의 39.4%를 차지하며 광엽(廣葉) 낙엽수가 32.5%, 신갈
나무
가 17.3%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실험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었다.지난해에 서울시내의 한 곳에서 잘라낸 1백년생 느티
나무
를 나이테에 따라 10년 간격으로 깎아내 그 속의 유황함유량을 조사한 바 있다. 그 결과 1880년대 부터 1950년대까지 형성된 나이테 부분의 목재에서는 유황의 함유량이 거의 없었으나 1960년에 자란 부분에서는 ... ...
사라지는 동물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힘들어졌고, 장수하늘소도 극소수가 살아 남아 있어 서식처인 서
나무
신갈
나무
물푸레
나무
등의 고사목 벌채를 삼가야 한다는 학자들의 연구보고가 나오기도 했다. 장구애비 게아재비 물장군 물자라와 소금쟁이 그리고 물방개 물매암이 등 물속에서 사는 곤충들도 농약의 과다한 살포로 대개가 ... ...
지구는 더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감소하게 된다.그러면 이산화탄소 축적을 제한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나무
를 이용할 수는 없을까? '우드웰'씨에 의하면 산림은 광합성의 끝과정에서 그들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의 양보다 많은 양을 사용하지만, 산림 개간에 의해 결국은 탄소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되고 만다고 한다. ... ...
묘목의 배양법 발견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내리고 잎을 벌이며 성장한다. 물론 이렇게 해서 되는것은 묘(苗)이며 플라스크에서 큰
나무
를 키울수는 없다. 육종장의 땅에서 육종된다. 흙에 심은 묘목은 어느것이나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기에도 가지런히 성장한다. 종자에 대한 묘처럼 개체 간의 흐트러짐이나 생육의 빠르고 느린 ... ...
도버해협 해저터널 2백년의 꿈이 영근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지금도 이 공사의 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 즉 바닷가 바위에
나무
로 만든 문이 있는데 그 문을 열고 들어서면 높이 2m, 길이 8백m의 축축한 터널이 이어진다. 도버해협 해저터널의 설계안은 그동안 여러가지가 나왔는데 그 중에서는 매우 정교한 것도 많다. 하나 예를 들어보면 ... ...
약용(薬用) 동물은 어떤 것들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치료제로써 이용되고, 눈을 밝게 하는 작용도 있다고 한다. 영양각이란 산양이 밤에 뿔을
나무
가지에 걸고 잠자던 흔적이 뿔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염소 고라니 노루 토끼 수달 오소리 고슴도치 족제비 등의 고기나 간 쓸개 뼈다리 등도 귀한 약재로 쓰이고 있다. 이상의 약용동물들은 그 ... ...
공해마을 온산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온산국민학교의 교사는 "학교에 꽃을 심어도 잘 자라지 않고 생명력이 강한 은사시 사철
나무
마저도 말라죽어간다"고 안타까와 했다. 바다도 죽어간다. 달포리 앞바다에서 20년째 해녀 생활을 해왔다는 홍(洪)모부인은 "80년 경부터 바다 속에 들어가면 온몸에 반점이 생기고 눈병이 나 이제는 바다가 ... ...
충북청원군 두루봉 유적을 통해본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와 환경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이용한 것도 적지 않게 나왔다. 예를 들어 사냥할 때는 둥글고 단단한 사냥돌을 질긴
나무
줄기에 묶어 목표물에 던졌고, 날카로운 짐승뼈를 막대기에 매달아 훌륭한 창을 만들기도 했던 것이다. 이같은 석기와 뼈연모들은 한군데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기도 해 석기제작소가 따로 있었다고 추측된다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