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9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실험하는 모든 기구들이 우리 인류발전에 크게 쓰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
주변
곳곳에 쓰이고 있는 모든 것들이 다 과학의 힘 즉, 우리 머리에서 나오는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것들입니다.그러나 야속하게도 우리에게 과학의 발달은 아주 좋은 면만 보여 주고 있지는 않습니다.즉 양면성을 갖고 ... ...
뚝딱 뚝딱~ 고물의 이유있는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거슬러 천적인 뱀도 공격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대.곤충은 천적을 피하기 위해
주변
자연 환경과 닮은 모습을 하고 있어. 그러니 자연에서 얻는 재료를 이용하면 다른 재료로 만드는 것보다 훨씬 의미 있는 작품을 만들 수 있단다. 그런 것까지는 전혀 눈치챌 수 없었다구?이제부터는 고물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교신이 끊어지면서 이륙 한 지 2분 17.19초(137.19초)만에 폭발해 추락한 것 같대. 나로 호
주변
에 모인 사람들 좀 봐. 아까는 숫자를 세며 환호하던 사람들 표정에 아쉬움이 가득해.이륙 후 2분 여쯤이 지났을 때, 교신이 끊어졌다는 소식이 들려왔어. 그 때까지만 해도 사람들이 저렇게까지 낙심하지는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물질에 계속 닿다 보면 자칫 그 모양이 변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겉넓이가 줄면
주변
에 드러나는 부분이 작아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구조가 된다사람의 마음을 대칭으로 조절한다?질서 잡힌 대칭 모양을 보면 사람은 안정감을 느끼는 동시에 자신을 다스리는 존재에 대한 놀라움과 충성심 을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설치하면 이산화탄소를 내뿜어
주변
에 있는 모기들이 모여든다. 그러면 진공청소기처럼
주변
공기를 빨아들여, 가까이 온 모기들이 장치 안으로 함께 빨려 들어간다. 또한 적외선 센서도 달려 있어 빨려 들어오는 모기의 수를 셀 수 있다. 화학약품 모기 퇴치제는 주의해야!모기 퇴치 제품에는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술하고 싶다는 환자의 생각을 돌려놓는 데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변
사람들이 ‘고칠 필요 없다’고 말해도 수술을 고집했던 사람들조차 본인 얼굴이 미의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수치로 확인하면 욕심을 버렸다. 하지만 이 교수는 “이 프로그램의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속력으로 연속해서 25일 이상 약 7400km 거리를 항해할 수 있다. 위험기상 현상을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장기간 연속 관측할 수 있고, 필요할 때는 북서태평양 해역까지 이동해 특별관측을 할 수 있다. 기상1호가 1년 중 바다 위에 떠 있는 시간은 200일 정도. 그래서 기상1호의 또 다른 별명은 ‘바다 위의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빗물은 매우 깨끗해서 마실 수 있다. 대체로 하루에 한번은 큰 비가 내리는 미크로네시아
주변
바다는 사실 태풍이 생기는 곳이다. 이곳 바다에서 자라난 태풍이 동아시아로 올라오면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알고 보면 축의 바다는 한반도와 그리 먼 곳만은 아니다.차를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답답함을 느끼는 K학생에게 선생님은 단점도 장점으로 바꿔보라는 충고를 했다. “집
주변
에서 생태연구소를 찾아봐. 그곳에서 민물고기나 물에 대해 연구하는 걸 견학해보면 어떨까. 연구에 참여해 나중에 탐구대회에서 관련 주제로 발표를 해보면 좋을 것 같구나. 그리고 봉사활동으로 생태 ... ...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헤드폰처럼 생긴 이 장치는 머리에 쓰기만 하면 사람의 관자놀이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주변
빛을 모아 전기를 만든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좀 더 발전시키면 두뇌의 활동을 수시로 감지하는 연구용 장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귀일 연구원(박사과정)은 “현재는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