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양이다.150 재채기를 할 때 공기가 몸 밖으로 나가는 속도는 시속 150㎞이다.206 우리가 태어
날
때는 뼈가 300개 이상이지만 자라면서 서로 붙는 뼈가 있어 어른이 되면 206개가 된다.도전! 나도 섭섭박사오, 놀라워라! 지난 호에 소개된 편광연구실에 정말 많은 친구들이 찾아와 주었어요. 편광 필름을 ... ...
로봇은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어떻게 캐릭터가 로봇이 될 수 있냐고? 물론 캐릭터 자체가 로봇은 아니야. 하지만
날
이 갈수록 로봇의 겉모습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캐릭터는 로봇이 살아 숨쉬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지. 어때? 이제 로봇들이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니?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떤 상상력과 ... ...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숫자 4가 옛
날
부터 중요한 숫자였다는 게 신기하지? 4의 참모습을 알게된 사람들은 4의 다양한 특성을 연구하기 시작했어. 그 뒤로 숫자 4의 가치 ... 피노키오! 수학으로 거짓말을 밝혀 줘~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 의뢰 2 도박으로
날
린 돈을 찾아 주세요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 ...
지붕뚫고 하이킥의 단짝, 해리와 신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제 ‘지붕 뚫고 하이킥’은 끝났지만, 다음 작품에선 또 어떤 새로운 모습으로 만
날
지 정말 기대가 되요. 앞으로도 멋진 모습 보여 주길 바랄게요.11 - 3 = 11?11에 3이 없으니까 11에서 3을 빼도 11이라고 계산한 엉뚱한 해리의 뺄셈법. 극 중 해리는 모든 뺄셈 문제를 신애가 해리의 먹을 것을 뺏어먹는 ... ...
포장지 안 뜯고도 선물 미리 본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리저리 흩어져 반사되기 때문에 통과하지 못합니다. 그래서연구팀은 빛이 페인트를 만
날
때 일어나는 현상을 자세히 조사했습니다.그 결과 흰색 페인트의 주성분인 산화아연층에 빛을 쬐어 6만 5000개가 넘는 다양한 정보를 모았지요. 여기에서 ‘전달 행렬’이라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 ...
공기 오염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볼까요? 분모가 모두 다르니까 하나의 분모로 통분해야겠군요.선생님 : 이런…, 큰일
날
뻔했군요. 이 공기정화장치는 박사님의 말처럼 완벽한 게 아니었어요. 그렇다면 이 탱크가 꽉 차서 오염물질이 밖으로 새어나가려면 며칠이 걸리는지 계산해 봐요.선생님 : 아하~, 8일하고 13시간이면 탱크가 ... ...
스피드 레이서 슈마허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우승할 수 있어요.”“그럼요. 아저씨가 꼭 우승할 거예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그
날
저녁, 슈마허의 말대로 옛 동료들이 하나둘 모인다. 슈마허와 동료들은 결승전을 위해 자동차 점검을 시작한다.“이보게 슈마허, 자네 이걸 타고 출전한 건가? 정말 엉망이구만. 특히 여기 말이야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2010년 1월 27일 오후. 나 섭섭박사는 연구실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었어요.그런데 어디선가 나의 단잠을 깨우는 소리가 들리는 거예요.“나는 과학과 만화를 사랑 ... 활짝 펴고 훨훨 하늘을
날
것만 같아요.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친구들은 내년에 명예기자로 만
날
수 있겠죠? 기대할게용~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것으로 보고 있다. 급격히 기후가 바뀌는 환경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생물종이 생겨
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육지에 사는 거대한 오징어인‘코끼리오징어’의 등장은 대표적인 예다. 대멸종으로 사라진 척추동물을 대신해 오징어 같은 두족류가 뭍으로 올라온다는 것. 심지어는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초점이 나간 사진을 보냈으니 그럴만 했죠.”2조 원이 투입된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
날
수 있는 상황이었다. NASA의 입장도 난처했다. 원인을 조사해 보니 핵심 부품인 지름 2.4m짜리 반사경에 문제가 있었다. 머리카락 두께의 50분의 1 정도를 잘못 가공한 것이다. 결국 반사경의 초점에 빛이 모이지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