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스페셜
"
안
"(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있다. 규모를 키우기 위해 M&A나 공동협력 같은 게 필요해 보이지만 한국 기업들은 잘
안
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광호 박사=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기에 한국 제약기업은 덩치가 아주 작은 편이다. 일본 제약회사들은 4~5년 전부터 서로 M&A를 많이 했다. 그렇게 덩치를 키운 다음 본격적으로 미국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이뤄져야 한다. △생명과학 분야에 스타 과학자를 키워야 한다. △정부는 장기적
안
목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해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1년 고려대 대학원 유전공학 석사 -1993년~1996년 일본 동경대 생명공학과 박사(일본 국비 유학생) -1997년~2007년 미국 예일대, 하버드 대, 남가주대 연구원 및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 △기초연구, 인프라 구축, 실용화 연구 분야를 나눈 다양한 평가 방식이 필요하다 △
안
정된 연구비 지원으로 창의적이고 연속적인 연구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자가 연구에 애정을 갖고 즐겁게 연구할 수 있어야 한다 정혁 원장은 - 1974년~1978년 서울대 농과대학 학사 - 1980년~1982년 서울대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성장한 분야를 보면 품질을 올리고 가격을 내리는 가격경쟁력으로 살아남았다. 그동
안
제약업계는 정부의 보험약가 유지 정책이라는 과보호 밑에서 연구개발보다는 마케팅에 집중해 매출 올리기에 급급했다. ▽이영식 위원장=결국 과보호 하지 말고 규제를 푸는 게 맞다. 지금까지는 국내에서 ... ...
BT기술 경쟁력 생물자원 확보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24
약 5% 수준이다. 특히 국내에서 생물자원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기 시작한 건 10년도 채
안
된다.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오면 벌써 늦은 거 에요. 선도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거죠.” 그래도 지난해 ‘생명자원관리법’이 통과돼 2012년부터 10년간 ‘생물자원 사업단’이 출범한다. 매년 ...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
동아사이언스
l
2011.01.25
못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생명과학연구의 상용화를 실패한 것으로 보면
안
된다는 것이 권 교수의 의견이다. 그는 “생명 공학 분야는 산업화가 빨리 되는 분야가 아니며 저변확대라든지 성장 잠재력을 위한 투자가 10년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교수는 이제부터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임상 등 장르를 넘나드는 의료 인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공계 인력 양성 방
안
에 기초의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가르치면 좋다는 것이다. 그는 “교육이 없는 연구, 연구가 없는 교육 모두 말이
안
된다”면서 “둘 사이에 적절한 합의점을 찾아가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정부의 정책이 적재적소에 이뤄지면 교육과 연구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가령 이전 정부에서 추진한 ... ...
“제약경쟁력 키우려면 범부처 협력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0.11.23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후보물질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우리 몸
안
에 있는 세포·단백질을 재료로 쓰는 바이오의약품은 독성이 없을뿐더러 아직 확인되지 않은 물질도 많아 ‘블루오션’에 가깝다. 임 단장은 “한국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능력이 선진국의 60~70% ... ...
“연구과제비 산정, ‘달러’로 국제화 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1.09
R&D) 예산담당자들의 시각이 국제화되지 못하고 국내 수준에만 머물러 결국 ‘우물
안
개구리’ 식의 연구지원으로 이어진다는 해석이다. 백 회장은 “미국국립보건원(NIH) 등 주요 선진국의 평균 개인 연구비 규모는 한국의 6~10배 수준”이라며 “한국은 연구 수준과 결과에 대해서는 ‘세계화’를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