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루미
단정학
백두루미
학문
학식
선학
면학
뉴스
"
학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
학
의 과거와 미래]⑨시장은 실패해도 시장의 방식은 실패하지 않는다 "평가하지 말고 공개하라"
2020.11.24
실무 자문단, 국가 평생교육진흥원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코세라에서 ‘공간 데이터 과
학
과 응용(Spatial Data Science and Applications)’라는 MOOC를 운영하고 있다 ... ...
복지부, 줄기세포·유전자치료 연구규정 마련…심의위도 구성
연합뉴스
l
2020.11.19
복지부 장관이, 부위원장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맡고 관련 부처 공무원과 산·
학
·연 전문가들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임을기 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제도의 본격 시행을 위해 재생의료기관 지정 등 추가적인 조치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
[과
학
게시판] ‘2020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농식품 저장 등 플라스마 기술을 활용한 식품 적용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 광주과
학
기술원(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가 문화시설 전시해설 안내방송을 문자(자막) 및 한국수어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는 기술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해 12~13일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했다고 1 ... ...
[대
학
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
학
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최선을 다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다양한
학
문 분야를 접하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학
습해서 미래 인재의 소양인 ‘다양성’을 내재화하는 시간이 될 수 있는 이유다. 전공이 정해져 있는 국내 대
학
에서 기초 교양 강좌와 기초 핵심 강좌들로 1
학
년
학
생들의 시간표를 채우는 것은 시간과 자원을 ... ...
[김우재의 보통과
학
자] 과
학
자가 트럼프와 싸워야 할 이유
2020.11.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네바다주 헨더슨의 한 중장비 생산공장에서 유세를 마친 뒤 지지자 수천명의 환호를 받으며 박수치고 있다. AFP/ ... 다닌다. 과
학
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
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대
학
의 과거와 미래]⑥미래의 인재상: 대
학
교육의 변화 방향은?
2020.11.03
실무 자문단, 국가 평생교육진흥원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코세라에서 ‘공간 데이터 과
학
과 응용(Spatial Data Science and Applications)’라는 MOOC를 운영하고 있다 ... ...
과
학
기술자문회의 제3기 심의위원에 이도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1.01
구성 비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앞으로 과
학
기술 주요 정책 및 연구개발(R&D) 예산의 배분과 조정에 대한 심의업무를 수행한다. ... ...
[대
학
의 과거와 미래]⑤플랫폼과 네트워크 관점에서 대
학
의 역할
2020.10.27
자유롭게 다양한 사상이 서로 연결되는 플랫폼이 대
학
이라는 주장이다. 대
학
의 모든 활동은 네트워크와 플랫폼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
학
들의 경쟁을 플랫폼 경쟁으로 바라보면, 대
학
을 운영하는 이사회와 집행부는 1990년대 후반 닷컴 시대 이후 플랫폼 기업들의 명멸을 ... ...
[대
학
의 과거와 미래]③새로운 시도에 두려움이 없는 미국 대
학
의 혁신
2020.10.13
제공 등을 철저하게 파괴하는 방식으로 고등교육의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미네르바
학
교는 모든 수업을 온라인 토론 및 세미나 방식으로 진행하며, 해당 과목에 대한 개별
학
습은 무크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캠퍼스도 없고 강의실도 따로 있지 않으며,
학
습활동과 직접 관계되지 않은 시설은 ... ...
[대
학
의 과거와 미래]②위기는 이미 시작되었다
2020.10.06
것을 목표로 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줄이겠다는 정원이 1996년∼2002년 정부가 추진하던 대
학
설립 준칙주의와 정원 자율화를 통해 증가했던 정원인 15만8000명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이다. 1996년의 신자유주의적 정원 확대가 완벽한 실패였음을 자인하는 듯하다. 현재 진행 중인 정원 축소 정책을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