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뉴스
"
작은 만
"(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유도분
만
으로 태어난 아이들 학업 성취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유도 분
만
후 태어난 어린이들의 점수가 100점
만
점에 평균 약 1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1점이란 점수가
작은
수치지
만
개인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산모나 아기의 건강이 위험한 특수 경우를 제외하곤 유도 분
만
을 결정할 때 고심할 필요가 있다”고 ... ...
빅뱅 직후 형성된 거대은하 6개 발견..."기존 이론 뒤집는 우주파괴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은하 후보를 발견했다. 우주 생성 초기에는
작은
은하가 먼저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 은하는 빅뱅 이후 10억년 뒤에 발견된 적이 있지
만
이보다 이른 시기의 거대 은하는 그동안 ... '우주의 새벽'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우리은하
만
큼 거대한 질량의 성숙한 은하를 발견한 것이다.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발현을 조절하는 리보핵산(RNA)의
작은
조각인 '마이크로RNA(miRNA)'가
만
들어지는 원리를 규명하는 데 ... 핵산을 이루는 단위체)로 구성된
작은
RNA를 말한다. 단백질을
만
드는 메신저리보핵산(mRNA)과 결합해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면 세포의 증식과 ... ...
머리카락 100분의 1 크기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있다. KAIST 제공 집속 이온 빔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분의 1
만
큼
작은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스마트워치 등 차세대 전자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조용훈 물리학과 교수팀이 집속 이온 빔을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점의 주인이 에티오피쿠스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
만
, 파란트로푸스의 시
작은
20
만
년 더 거슬러 올라가 290
만
년 전으로 업데이트됐다. 파란트로푸스의 화석 분포는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에 걸쳐져 있고 기간은 최근 화석 발견으로 약 20
만
년 더 거슬러 올라가 290
만
년 전에서 100
만
년까지로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작은
크기다. 지니너스의 싱글셀 기술개발은 이
작은
DNA를 획기적으로 증폭시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분석할 아주
작은
세포에 물과 기름을 함께 흘려보내면 세포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물방울이
만
들어진다. 물방울 안에 들어간 세포에 DNA가 작용을 조절하는 리보핵산(RNA)를 잡을 수 있는 ... ...
[과찬의 말씀] 뚫리지 않는 방패, 동형암호의 '아버지'
2023.02.19
된 계기, 두 번째는 다른 사람과 나누고 싶은 나
만
의 철학. 이 질문들에는 답변전 깊이 생각하기도 ... 커다란 계기가 있지는 않은 것 같아요. 오히려
작은
것들이 쌓여 지금을
만
든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매 순간 조금 더 최선의 결과를 얻고 싶은 욕심이 생각하지도 않았던 길을 걷게 한 것 같아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수 있다"며 "꿈의 여정을 멈추지 말고 실패를
만
나더라도 포기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 ... 무사히 졸업을 이뤄낸 것을 축하한다”며 “
작은
목표부터 시작해 세계 최고를 꿈꾸며 꿈을 ... 'AI 작곡'으로 유명한 안창욱 교수 연구실의 김
만
제 씨가 이날 오후 2시 지스트 오룡관 다목적홀에서 ... ...
울산대병원, 세계 최초 3가지 질환 동시 단일공 로봇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병변의 절제가 가능하다. 서로 멀리 위치한 복부 장기라도 1cm 내외의
작은
구멍
만
추가해 동시 수술이 가능하다.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를뿐
만
아니라 장기 기능을 최대한 보존 가능해 합병증의 발생 위험도 낮다. 의료진은 환자 복부에 배꼽 구멍으로 수술포트를 확보한 후 난소 종양을 먼저 ... ...
달 먼지로 태양 가린다...우주로 눈돌리는 기후변화 대응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촘촘히 연결된 형태다. 연구팀은 브라질 크기
만
한 우주 기포 뗏목을
만
들면 지구로 오는 햇빛의 2%를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작은
비행체로 이뤄진 우주 차양막이나 거대한 거울을 우주에 쏘아올려 지구로 오는 햇빛을 반사시키는 '우주거울' 등도 아이디어로 제시되고 있다. ●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