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8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빛의 속도로 700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는 적색초거성이다. 적색초거성은 우주에서
부피
가 가장 큰 천체 중 하나로, 태양보다 질량이 10배 이상 큰 천체들이 수명을 다 해 연료인 수소를 소진하면 구름처럼 부풀어 올라 형성된다. 대부분 태양보다 반지름이 1000배 이상 커진다. 베텔게우스는 지구 ... ...
붉은 벽돌에 전구 달았더니 빛이 '번쩍'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밀도는 리튬이온배터리의 1%에 불과하다. 이는 같은 양의 전기를 저장할 때 100배 더 큰
부피
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벽돌은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아닌 전기를 고체에 정전기 형태로 저장하는 커패시터(축전지)다. 배터리보다 충전이 빠르고 수만 회 이상 충전이 가능하지만 에너지 ... ...
'한국형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회전할 때 표적을 놓치는 경우를 막아준다. 또 전파의 송신부와 수신부도 따로 구성돼
부피
가 크고 무거운 기계식 레이더와 비교해 가볍다는 장점도 있다. 가볍지만 정보처리속도도 기계식 레이더보다 훨신 빠르다. 여러 개의 공중과 지상 목표물까지 동시에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다. 위상배열 ... ...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지녀 ITER 건설에 참고가 되고 있는 한국의 핵융합 실험로 케이스타(KSTAR)보다 ITER는
부피
가 약 27배 크다. ITER는 신고리원전의 약 6분의 1~5분의 1 수준인 열출력 500MW의 실험로로 대규모 핵융합의 과학적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투입한 에너지 대비 생산한 에너지가 10배 ... ...
여드름과 염증 치료하는 투명 온열패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온열요법은 시도됐다. 하지만 구동 모듈과 배터리 등이 패치 외에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부피
가 커 부착 가능 부위가 한정적이란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탈릭 글래스’와 ‘나노 와이어’를 이용해 투명 온열패치를 만들었다. 메탈릭 글래스는 첨단 신소재로 일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분자는 그 숫자가 굉장히 많다. 또한 서로 빠르게 충돌하면서 주어진 공간 속에서 특정한
부피
를 차지하고 압력을 미친다. 보통은 이렇게 많은 개수의 입자를 다룰 때 평균값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즉, 수많은 기체분자들이 굉장히 빠른 제각각의 속도로 날아다니면서 서로 충돌할 텐데 이들 속도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받지 못했다. 독일의 율리우스 로타르 마이어(1830~1895)는 비슷한 시기 원자량과 원자의
부피
사이에 규칙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마이어는 자신이 발견한 결과를 하나의 표, 즉 주기율표로 정리해 1870년에 출판한 책에 실었다. 그러나 그보다 1년 앞서 1869년 러시아의 드미트리 멘델레예프(1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모래알이 훨씬 더 고운 입자여서 가로 세로 높이가 0.1밀리미터라고 하면 모래알 하나의
부피
가 천 배 줄어든 셈이니까 전체 모래알의 개수는 천 배 늘어난다. 이 경우 전체 모래알의 개수는 대략 10의 18승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아보가드로수 ~10의 23승에 비해서 10의 5승, 즉 10배 정도 작은 양이다. ... ...
막힘 없는 변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이 이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구조의 펌프를 개발했다. 돌멩이처럼
부피
가 크고 무거운 고형물까지 통과시킬 수 있어 막힘 현상 없이 펌프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김진혁 청정에너지시스템연구부문 수석연구원과 인천 남동구 소재 기업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수 없다는 무시무시함(?)이 신비로운 매력을 더한 것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블랙홀은
부피
는 0이지만 엄청난 질량이 한 곳에 모여 무시무시한 중력을 가진 죽은 별이다. 중력이 매우 강해 모든 물질을 빨아들인다. 심지어 빛조차 빨아들여 블랙홀은 눈에도 보이지 않는다. 이런 블랙홀에는 물질과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