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른아른’ 화면 빛반사 줄일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높일 수 있었다. 홍성훈 ETRI 선임연구원(왼쪽)과 김수정 고려대 연구원이 메타물질의
박막
두께를 조절하고 있다. 사진제공 ETRI 또 효율적인 제작 공정도 개발했다. 마치 물감을 뿌리듯 용액을 넓은 면적의 기판에 뿌려서 제작하는 방법을 완성해, 적은 비용으로 넓은 소재를 만들 수 있고, ... ...
에너지 생산하고 터치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연구팀은 에너지 발전, 저장, 터치 감지 등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투명한
박막
형 에너지 소자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단일층 그래핀 필름’을 전극으로 활용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배열하며 원자 하나 두께의 층으로 이뤄진 소재다. 두께가 얇아 ... ...
국내 연구진, 페로브스카이트 발광효율 100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이창열(왼쪽)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과 이홍석(오른쪽) 전북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의 발광효율을 100배 높이는 ... 및 파장변화(왼쪽)과 전자주사현미경으로 분석된 시간경과에 따른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의 결정크기 변화(오른쪽)을 나타냈다. GIST 제공 ... ...
태양광으로 무공해 수소 만드는 기술 효율 97%까지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음전하를 생성하는 이산화티타늄 나노막대와 황화카드뮴
박막
위에 니켈산화물
박막
을 추가로 증착했다. 니켈산화물은 음전하는 이산화티타늄으로, 양전하는 황화카드뮴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울뿐더러 코팅의 역할도 해 반도체의 부식도 막았다. 이렇게 만든 전극은 태양광으로 생성된 전하의 ... ...
차세대 반도체 성능 좌우할 초
박막
층 거칠기 관리 기준 세계 최초 정의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사이 상관관계를 보는 ‘거칠기 스케일링’ 방법을 도입했다. 이를 토대로 반도체
박막
의 표면에서 하부층의 거칠기가 상부층에 영향을 주는 수치인 ‘임계 거칠기’를 새로운 산업 표준으로 정의했다. 임계 거칠기를 측정 기준으로 삼아 반도체의 품질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적 수준 효율 내는 새 방법은 ‘
박막
’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3.28
할로겐화물
박막
표면에 신규 할로겐화물
박막
을 형성시키는 DHA라는 새로운
박막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 페로브스카이트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고 정공수송 효과가 극적으로 높아졌다. 또 기존 정공수송소재는 정공수송 능력을 높이기 위해 친수성 첨가제가 필수였다. ... ...
안테나가 디스플레이 속으로...5G용 디스플레이 일체형 안테나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3.27
개를 설치했다. 먼저 연구팀은 동우화인켐과 공동으로 10원짜리 동전보다 작고 얇은 투명
박막
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가로세로 5mm 크기의 정사각형 형태로 0.28mm 두께의 실리콘 소재를 가공한 뒤, 위에 그보다 10분의 1 이상 얇은 산화실리콘을 여러 겹 입혀 안테나를 완성했다. 이 안테나 수십 ... ...
안경 없이도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약 400배 이상 향상된 결과다. 이 기술은 기존 LCD 패널 생산 공정과 호환 가능하다.
박막
을 추가하는 한 단계를 덧붙여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평면형 디스플레이에서 대면적 광시야각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 ...
권동일 서울대 교수 측정기술 美용접학회 핸드북 실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현장 구조물에 즉시 시험해볼 수 있다. 용접과 같은 비교적 큰 부위부터 매우 얇은
박막
까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시험대상의 잔류응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앞서 지난해 국내 측정기술 중에는 최초로 원자력발전소에서 미국기계학회(ASME)의 기술기준적용사례로 승인되기도 ... ...
반도체 나노막대 사용해 빛 손실 문제 해결한 초
박막
편광필름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고 “고배열, 고배향을 갖는 다양한 나노입자의 초
박막
필름 제작 및 필름 소자에 활발히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1월 25일자에 발표됐다. 나노막대 표면을 감싸고 있는 리간드 층 밀도에 따른 자기조립구조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