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다양한 지향을 갖고 발전해 나갔다. 실수 줄이려 다시 만난 세계, 람다와 튜링 1962년 7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최초의 행성 탐사선, 마리너 1호를 발사했다. 마리너 1호의 임무는 금성을 지나 화성을 거쳐 수성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것이었다. 마리너 1호에는 ‘코어 루프 메모리’가 탑재돼 ...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모습이 웅장해 인상깊다”고 말했다. 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는 전체 면적이 축구장 137개와 맞먹어 ‘한국 역사상 가장 큰 연구시설’로 꼽힌다. 랩투어를 통해 독자들은 이런 라온의 생동감 넘치는 모습과 이 곳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열정을 만날 수 있었다. 신재호 독자(서울 역삼중 1)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링과 스틱으로 건축물을 뚝딱? 폴리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피라미드를 건설하는데 적합했을 것으로 본 거예요. 연구팀은 “그동안 피라미드에서 7km 떨어진 나일강의 지류가 건축물 재료를 옮기는 데 활용됐을거란 추측이 있었다”며,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은 것”이라고 했답니다. 용어 정리●시추 : 지구 내부를 알아내기 위해 땅에 구멍을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챗GPT의 답변을 보면 악수 보조정리는 알고 있지만, 저장된 내용을 따라 답하는 거예요. 7명이 3번씩 악수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묻는 문제의 풀이와 답이 인터넷에 많이 있거든요. 그런데 선의 개수가 챗GPT가 이미 알고 있는 문제와 똑같은 홀수가 아닌 짝수여서 그 부분에서 잠깐 답변이 지체됐어요.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누리호 3호기 3단의 맨 윗부분에 장착된다. 나머지 큐브위성 7기는 그 아래 양옆으로 탑재된다. 누리호 3호기는 발사 2분 5초 뒤 1단 분리에 들어간다. 발사 3분 54초 후에 3단을 덮고 있는 페어링이 분리되며 4분 32초 후에는 2단 분리가 진행된다. 발사된 지 13분 3초가 흐르면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실제로 통계를 보면 2002~2021년 허블이 찍은 모든 이미지 중 인공위성 궤적이 찍힌 것은 2.7%에 달한다. 가장 최근인 2021년엔 인공위성 궤적이 찍힌 이미지의 비중이 전체의 5%까지 높아졌다. 우주망원경이 지상망원경보다 오히려 불리한 점도 있다. 우주망원경 바로 위를 지나가는 인공위성은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한승전 1990년 부산대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재료공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부터 한국재료연구원에 재직하며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 ... ...
- [특집] 튀르키예의 지진, 피해가 컸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월 6일 튀르키예 가지안테프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일어난 뒤 약 9시간 만에 북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카라만마라슈에서 규모 7.5의 지진이 다시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큰 규모의 지진이 두 번이나 연속으로 일어난 원인은 무엇일까요? 판의 이동으로 땅이 찢어지다 “두 판 사이의 힘이 쌓였다가…,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비해 한국어 능력이 훨씬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은 GPT-3.5와 달리 GPT-4의 한국어 능력은 77점으로 70.1점이었던 GPT-3.5의 영어 능력보다 높아요. 따라서 국내 기업이 만든 언어 모형의 실효성은 지켜봐야 하지요. Q. 챗GPT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챗GPT는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떤 질문에도 그럴싸한 ... ...
- 물리적으로 그네타는 궁극의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것으로 확인됐다. 그 다음 흔들리는 폭이 늘어날수록 몸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평균 약 7ms(밀리초는 1000분의 1초)씩 더 빠르게 했다. 이렇게 모션을 캡처한 데이터는 연구팀이 과거의 두 모델을 조합해 만든 새로운 모델과도 정확히 일치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네를 탈 때 추진력을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