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흙"(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더 두껍고 빗물 침투 속도가 느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지리산과 설악산을 구성하는 흙의 유래가 다르기 때문이다. 지리산은 점토광물이 많이 섞인 편마암이 대부분이고, 설악산은 화강암이 많다). 화강암 풍화토는 빗물 침투 속도가 빠르고 배수가 잘 되기 때문에 편마암 풍화토에 비해 사면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간 축적해 온 과학 지식을 활용해 다양한 도구를 개발했다. 금속탐지기를 이용해 흙 속에 숨은 금속을 찾아낼 수 있고, 적외선 투시장치를 쓰면 어두운 밤에도 앞을 잘 볼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면 열을 발산하는 생명체와 그 외의 무생물을 구분해낼 수도 있다. 아이아이는 이런 도구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동한다.여름 냄새로 기억되는 것들은 여러 가지다. 기사에서는 가장 보편적인 비나 흙 냄새를 소개했지만, 누군가에게는 특정 브랜드의 자외선 차단제가, 누군가에겐 짭조름한 바다 냄새가 여름 냄새일 것이다. 미국 필라델피아 모넬 화학지각센터의 파멜라 달튼 박사는 2012년 발간한 ‘후각의 ... ...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펜으로 전하는 희망조아라(영국국제학교 NlcsJeju)저도 가보기 전엔 몰랐어요. 아직도 흙바닥에 글을 쓰며 공부하는 친구들이 있다는 것을 말이죠. 제가 갔던 곳은 탄자니아와 네팔인데, 그곳에는 하루 2달러(한화 약2300원)가 없어서 굶는 아이들이 있어요. 끼니도 해결할 수 없는데, 학용품이 있을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섞여있다. 냄새를 정확히 설명하긴 어렵지만 기존의 똥냄새에 음식물 쓰레기 냄새, 흙냄새 비슷한 냄새가 섞여서 난다. 정화조에서 퍼 올린 오물 외에 하수도관에 쌓여있는 퇴적물과 관벽에 붙어있는 미생물층에서 악취가 추가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하수관 내벽에는 오물을 썩게 만드는 혐기성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보고 있어요.제비가 우리나라에서 둥지를 짓고 살아가기 위해선 처마가 긴 주택과 진흙을 구할 수 있는 습지가 필요해요. 그런데 농경지가 점점 도시화 되면서 처마가 사라져 제비들이 집을 짓기 어려워진 거예요. 게다가 그나마 남은 농경지에서도 농약을 사용하면서 제비의 먹이가 되는 곤충이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동물을 포함시켰다. 현대 환경 윤리의 아버지로 꼽히는 알도 레오폴드(1887~1948년)는 흙이나 산, 바다와 같은 자연 환경의 모든 요소로까지 이를 확대했다(대지윤리). 영국의 철학자 루치아노 플로리디(1964년~)는 기계 같은 인공물도 도덕적 고려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담론들이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여기저기 흩어져버리기 때문이다. 온 신경을 곤두세워 뼛조각을 하나하나 줍고 주변의 흙을 몇 번씩 체로 걸러내다 보면 몇 시간이 금방 지나가버린다. 뼛조각을 모은다고 끝이 아니다. 혹시나 분실된 조각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세척이 끝나고 나면 필자는 항상 부러진 뼈를 다시 맞춰보곤 했다.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실을 알아냈어요. 알 껍데기의 탄산칼슘은 어미 몸속의 뼈에서 나와요. 그런데 주변 흙이나 먹이에 칼슘 성분이 부족하면 알 껍데기에 사용할 탄산칼슘도 줄어들어 껍데기가 얇아지지요. 이때 색소가 알 껍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해 준답니다.알의 색으로 어미의 털색도 알 수 있어요. 알을 낳는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 옆에 떨어지는 쇳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예요. 금(金)을 ‘이제 금(今)’과 ‘흙 토(土)’, 그리고 반짝이는 점 2개가 합쳐진 글자로, ‘땅 위에 반짝이는 물질’로 해석하기도 하지요.한편 ‘물 하(河)’는 물을 의미하는 ‘삼수변(氵)’과 음을 나타내는 ‘옳을 가(可)’가 더해진 한자로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