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문
후기인상파
인상파
후반기
보유
d라이브러리
"
후기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측정할 수 있었다. 이는 망원경을 통한 관측천문학 발전에 획기적인 사건이었다.조선
후기
박학다식하기로 유명한 이규경(李圭景, 1788〜?)은 자신의 저서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태양흑점에 대해 기술하면서 서양인이나 중국인이 남긴 관측 경험에만 의존했다. 19세기 초반에 살았던 그도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낭포는 비둘기알 정도로 크며 더 큰 것도 있다 유럽 중부지역에서 고생대
후기
인 석탄기에 일어난 조산운동 바리스칸 변동이라고도 한다넓은 뜻에서는 석탄기에서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걸친 모든 조산운동을 가리킨다1886년 M 베르트랑은 유럽에서 알려진 지각운동을 시대순으로 선캄브리아기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고주파 전기장을 조합시켜 사용하는 입자가속기이다 선캄브리아대의 시생대(始生代)
후기
에 캐나다 순상지(楯狀地)에서 일어난 지각변동 1883년 A C 로슨이 캐나다의 슈피리어호(湖) 서북에서 키와틴계 부정합(不整合)에 뒤덮인 화강암을 로렌시아 화강암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 이 변동이 일어난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생활했다 몸의 단단한 부분은 새우나 게 껍질 성분과 같은 키틴질로 돼 있었다고생대
후기
석탄기와 페름기에 따뜻한 얕은 바다에서 크게 번성한 원생동물 푸줄리나라고도 한다뜨거운 날씨에 오랫동안 햇볕에 노출돼 염분이나 수분의 손실로 발생하는 탈수증세 쇠약감, 피로, 두통 등의 증상이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있지만 우리나라에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자료가 없어 확실하지 않다 다만 삼국시대
후기
나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기록상으로는 물을 동력으로 한 수격식(水擊式) 혼천시계가 1437년 이천, 장영실 등의 감독하에 제작되었고 현종 10년(1669년) 송이영이 서양 자명종의 ... ...
하회마을 금빛 모래톱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잘 묘사하고 있다.아름다운 모래톱하면 빠지지 않는 곳이 낙동강변 하회마을이다. 조선
후기
의 지리서인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에는 하회마을을 두고 행주형(行舟形, 물 위에서 유유히 나아가는 배의 형국) 또는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는 형국)이라 일컬었다.더욱이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조금 알려져 있었다. 필자는 문학사 연구자의 권유로 2, 3년 전부터 홍길주의 수학과 조선
후기
의 수학사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 결과 그의 수학이 중국과 다른 조선수학의 독특한 전통 아래서 꽃피울 수 있었다는 점을 밝혀 2월에 나온 과학사 분야의 국제학술지(Science in Context)에발표했다.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통일신라의 인덕력(麟德曆), 고려의 선명력(宣明曆), 그리고 고려
후기
충선왕 때부터 사용한 수시력(授時曆) 등이 모두 중국식 천문학과 수학의 전통을 따르는 중국 역법을 수입한 것이다. 원의 중심각이 365.2425도인 이유역법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상수는 1태양년의 길이다.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칠정산은 시간에 따라 1태양년의 길이를 조정했기 때문에 조선
후기
까지 200년간이나 큰 오차 없이 사용될 수 있었다.그러나 아무리 그 시대 최고로 정밀한 천문학에 기초를 두고 만들어진 달력이라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오차가 생기기 마련이다. 로마제국의 시저가 ... ...
암호처럼 보이는 수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보기에 암호처럼 보이는 그림들. 이 안에 어떤 비밀이 숨어있을까.조선
후기
사대부 출신 학자인 최석정이 쓴 수학책 ‘구수략’(九數略)에는 ‘하도’(河圖)(01)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하도는 중국 복희씨 때 황하에서 용마가 입에 물고 나왔다는 전설 속의 예언서다. 하도에는 흰 점과 검은 점이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