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회
현대
d라이브러리
"
현대사회
"(으)로 총 1,189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에는 ‘춥게’ 입어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보면 당연한 것이다. 자연과 기후에 적응하며 살아야 건강한 것도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현대사회
는 여름에는 지나친 냉방 탓에 오히려 춥고, 겨울에는 지나친 난방 탓에 너무 덥다. 외부와 내부 환경이 크게 달라지니 과거보다 감기에 걸리기도 쉽다. 필자는 현대인이 옷을 지혜롭게 활용해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과거에도 그랬지만
현대사회
에서 기술은 분명히 막대한 힘을 가져다준다. 단순히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아이디어와 달리 기술은 실제로 적용될 수 있다. 기술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인적, 물질적 자원이 들어가게 ... ...
고교생 고민 솔직하게 나눠요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 힘들지만 조금만 기운을 더 내서 우리 학교와 동아리를 널리 알리자, 파이팅!”현대약품은 진다클린겔출시에 맞춰 전국 고등학교 동아리를 후원하고 고등학생들의 끼와 재능을 발굴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다나와’를 진행하고 있다. 고교 동아리를 활성화해 청소년들의 잠재력을 찾고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짠 음식이 고혈압과 당뇨 같은 성인질환의 주요 원인임이 밝혀진 뒤,
현대사회
에서는 조미료 사용을 줄여 싱겁게 먹는 ‘웰빙 식사’가 뜨고 있다. 하지만 수십 년간 소금과 설탕의 맛에 익숙해진 현대인에게 싱거운 식사가 쉽지만은 않다.각종 성인질환을 앓고 있거나 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 아픈 사람들은 학교에서 공부를 하거나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정상인 처럼’ 살아간다. 별다른 점은 다른 사람에 비해 불행하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는 것이다. 자신이 병에 걸린 줄도 모르고 그럭저럭 살면서 병을 점점 키운다. 때때로 그들은 안타깝게도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눈치 챈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난 5월 출간된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저서 ‘정의란 무엇인가’가 수개월째 베스트셀러를 달리고 있다. 결코 읽기 쉽지 않은 인문서적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작 ‘1Q84’마저 누를지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최근 사회에서도 정의의 가치가 급부상하고 있다. 총리후보와 신임 장관후보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깜깜한 밤, 무심코 창문 밖을 내다보기 싫다는 생각이 든 적 있는가. (고층 아파트에 사는데) 누군가가 창을 두드린다는 식상한 공포 이야기 때문이 아니라 혹시 힘없이 떨어지는 사람을 목격할지도 모른다는 이유 때문에 말이다. ‘최고의 자살 국가’라는 오명을 쓴 한국에서는 하루 평균 35명이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윤종용 한국공학한림원장은 “
현대사회
를 주도하고 있는 디지털 혁명은 향후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게 될지 섣불리 예측할 수 없다”면서 조심스런 입장을 보였다. 2050년, 2100년과 같은 먼 미래의 일은 물론이고 5~10년 뒤의 일조차 확실하게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제 이득만 취하는 사람은 금방 적발돼 퇴출당하거나 공동체의 징벌을 받았다. 하지만
현대사회
는 ‘한번 보고 끝나는’ 만남이 많아졌다. 그래서 자기가 원하는 것만 얻고 난 뒤 은혜를 갚지 않고 관계를 단절해버려도 아무도 벌을 주지 못한다. 공동체에서 퇴출시키는 일도 불가능해졌다. 결국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새 학년이 되면 교실 안에서는 치열한 눈치 싸움이 벌어진다. 학생들은 어떤 교사가 소위 '만만'한지, 어떤 교사를 조심해야 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한다. 학교에 떠도는 소문이나 선배의 조언, 혹은경험을 통해 만만한 교사와 무서운 교사를 구분한다. 만만한 교사의 수업 시간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