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발탄
수뢰
불량배
무법자
화약
폭약
탄약
d라이브러리
"
폭탄
"(으)로 총 761건 검색되었습니다.
속 타고 긴장된 기상예보 1박 2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12월 21~22일 이틀간 강원 동해안과 산간지방에는 최고 1m가 넘는 ‘눈
폭탄
’이 떨어졌다. 학교는 임시휴교령을 내렸고, 마을이 고립돼 주민들은 큰 불편을 겪었다. 당연한 수순인 듯, 비난의 화살은 기상청을 향했다. 이 모든 피해는 예보가 빗나갔기 때문이라며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예보관들은 ... ...
2008년 세계를 뒤든흔 과학 Big 5!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세기를 나타내는 기준인‘리히터 규모’로 8.0에 해당하는 위력이었는데, 이것은 원자
폭탄
252개가 동시에 폭발한 것과 같은 엄청난 힘이라고 해.특히 이번 지진은 규모도 컸지만 낙후된 지역에서 발생해 피해가 더 컸어. 약한 건물이 무너지고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일어나면서 모두 7만 명이나 되는 ... ...
밀가루가
폭탄
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있는 위험을 갖고 있어요.”옆에 있던 백설귀 씨가 웃음을 터뜨린다.“우하핫! 콩가루
폭탄
이라니…. 왠지 웃겨요.”그 소리를 들은 닥터고글은 그 어느 때보다 진지한 표정으로 백설귀 씨에게 말한다.“가루 때문에 일어나는 이런 폭발은 가스폭발에 비해 연소 속도나 폭발 압력은 작지만 연소 ... ...
100년 전 퉁구스카에선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분명 사건에는 원인이 있기 마련인데….당시 폭발의 위력은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
폭탄
의 1000배가 넘는 규모였다고 해요. 하지만 왜 이런 엄청난 일이 일어났는지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답니다. 그래서 미스터리로 불리고 있지요.그래도 뭔가 추측되는 거라도 있지 않나요? 예를 들어 ... ...
100년의역사가 흐르는 수도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었어. 물 전쟁이 벌어질 정도로 세계적으로 물이 부족하다니…! 그 동안 친구들과 물
폭탄
을 만들어 장난을 치기도 했는데 좀 부끄럽더라고. 앞으로 물을 아껴 쓰는 생활습관을 익혀야겠다고 다짐했어. 화장실 변기에 벽돌을 하나 넣어 두거나 샤워 시간을 조금만 줄여도 물 사용량을 20~60%나 줄일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어날수록 에너지가 지표면에 잘 전달돼 큰 피해를 입힌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
폭탄
이 땅 속에 묻혀 있는 셈이다. 과학자들은 이렇게 예고 없이 일어나는 지진의 원인을 알아 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밝혀 낸 지진의 원인을 알아보자.*천발지진 : 깊이 70㎞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고원을 강타한 소행성(혹은 혜성체)은 불과 50여m로 추정되지만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폭발을 일으키며 서울 넓이의 10배가 넘는 영역에 걸쳐 삼림을 쓰러뜨리고 태워버렸다.소행성 충돌은 총알 속도의 수십 배에 이르는 엄청난 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작은 크기라도 ... ...
지진이 불러온 참극의 현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밀어올리는 과정에서 커다란 에너지가 분출돼 지진을 일으킨 거예요.지진의 위력은 원자
폭탄
252개가 폭발한 것과 맞먹을 정도로 컸어요. 또한 지진의 근원지가 지하 10㎞로 얕았기 때문에 피해가 더욱 커졌지요. 지금까지 알려진 사망자와 실종자만 7만 명이 넘고, 부상자도 수십만 명에 달할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다이너마이트라는 고체
폭탄
을 발명했다. 불안정해서 폭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액체
폭탄
을 규조토라는 물질에 흡수시켜 고체로 만든 것이다. 노벨은 광산이나 건설 현장에서 폭발 사고로 사람이 다치는 걸 막기 위해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지만, 오히려 다이너마이트는 전쟁터에서 무기로 쓰여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때문이다. 로켓에 쓰이는 화약은 일정한 양이 천천히 타 들어가야 한다는 점에서
폭탄
과 다른 제어기술이 요구된다. 산화제인 염초의 비율과 구성이 중요해지는 이유다. 이 때문에 연구기관에서도 화약 재현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 연구위원팀에서도 현재 대신기전을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