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타당함"(으)로 총 4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과학동아 l1992년 01호
- 21세기 TV로 알려진 HDTV가 이미 일본에서 실용화됐다. 항상 꿈으로만 여겨왔던 대형 벽걸이 TV도 멀지 않은 시간내에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우리의 TV환경은 어떻게 변해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바뀔 것인가?미래의 TV는 어떤 모습일까. 선명도 다섯배, 컴팩트디스크 수준의 음질, 화면비의 개선(가로 ... ...
- 코브라의 새사냥과학동아 l1992년 01호
- 기껏해야 땅바닥에 기어다니는 코브라가 천방지축으로 날아다니는 새에게 일격을 가한다.문제(1) 식물중에는 곤충같은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 것이 있다. 이런 식물들을 식충식물이라 하는데, 이중 파리지옥은 어떻게 벌레를 잡을까?① 항아리 모양의 입을 벌리고 벌레가 그 속으로 떨어져 들어오 ...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1년 12호
- 합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세라믹스 복합재료 분야에 지금 새 바람이 불고 있다.소재라고 하면 오래도록 무조건 강한 것이 최고였다. 석기에서 청동기로, 다시 철기로 이어지는 도구사(史)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의 지능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새로 찾아낸 보다 강한 소재가 늘 소재의 왕 ...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과학동아 l1991년 10호
- 늘 다수파의 횡포와 편견에 시달려 왔던 인구의 5~10%를 차지하는 왼손잡이의 실제 모습은?서양에서는 모나리자를 그린 화가이자 과학자이기도 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왼손잡이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H.W. 잰슨 같은 예술사가는 다 빈치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비성은 그가 왼손잡이였기 때문에 ... ...
- 천랑성의 색깔과학동아 l1991년 10호
-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시리우스, 즉 천랑성(天狼星)인데 이별은 희고 뜨거운 다이아몬드처럼 빛난다. 보통 천랑성과 같은 별은 그 색깔이나 밝기에 변함이 없다. 그런데 고대와 중세기시절에 천랑성이 자주 '붉다고' 표현됐던 것은 꽤나 놀랄만한 일이다.도대체 어떻게 천랑성이 붉었다는 말인가 ...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과학동아 l1991년 10호
- "화산작용, 조산운동, 조륙운동, 해수와 기후의 변화, 대륙빙하의 발달 등은 동일과정설로 설명할 수 없다." - 격변설의 입장오늘날에는 진화론의 영향으로 이 지구가 우연히 생겼으며, 따라서 우주공간에는 지구와 비슷한 별들이 무수히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따라서 지구 ...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과학동아 l1991년 09호
- 인간이 달에 첫발을 내디딘지 22년. 그러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달여행 제2막인 '달기지 건설'을 앞두고 지금까지의 성과를 간추려본다.60년대와 70년대 우주개발의 모든 목표는 달이었다. 즉 달은 광활한 우주를 향한 인간의 꿈을 펼친 첫 관문이었던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1969년 7월 ... ...
- 왼손잡이 단명설, 믿을 수 없다과학동아 l1991년 09호
- 지난 89년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 실험심리학자인 스탠리 코렌박사는 "왼손잡이의 평균수명 이 오른손잡이보다 9년이나 짧다"고 발표, 전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그는 왼손잡이가 자동차 사고를 당할 확률이 거의 두배나 되며 도구를 사용하다가 부상하거나 작업 또는 운동중에 다칠 확 ...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과학동아 l1991년 07호
- "아기 매머드 디마는 왜 해성층이 아닌 육성층에서 발견됐을까?" - 진화론자가 창조론자에게 던지는 10문과 그 10답1 동물의 배(胚)발생과정을 비교해 보면 매우 비슷한 점에 놀라게 된다. 원시적인 동물이 필요로 하는 것이 고등동물의 발생과정에서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발생 후기에는 사라지거나 ...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과학동아 l1991년 07호
- 88년 제5차 교육과정 개정이후 컴퓨터는 정규교과목에 삽입되고 96년까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16비트 컴퓨터가 보급되기로 하는 등 큰 변화가 있었다.오진석-바쁘신 중에 여러 선생님들께서 참석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 논의할 주제는 학교컴퓨터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