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의심을 부채질했다. 포도주와 물을 섞는 실험이 대표적이다. 속이 빈 둥근 유리공에 밀짚 크기의 작은 구멍을 낸다. 유리공에 물을 채운 후에 유리공의 구멍을 아래로 해 붉은 포도주에 담근다. 무슨 일이 벌어질까? 갈릴레이에 따르면 붉은 포도주는 천천히 물을 뚫고 물 위로 올라가고 반대로 물은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로봇의 위치를 스마트폰 카메라만을 활용해서 2mm 이하의 오차로 추적하는 데 성공했죠.크기가 큰 로봇에는 블루투스 같은 무선 통신 장비와 다양한 센서를 실을 수 있지만, 아주 작고 가벼운 로봇에는 적용하기 어려워요. 첨단 위치 추적 시스템이 마련되기 어려운 외부환경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 ... ...
- [미궁 1004] 미지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3년 02호
- EoE 아래 그림과 같은 숫자판과 주사위가 있다. 숫자판 한 칸의 크기는 주사위 한 면의 크기와 같다. 이 주사위를 숫자판 1 위에 얹은 다음, 좌우 또는 앞뒤로 넘어뜨려서 그 주위 칸으로 주사위를 움직이자. 주사위는 판의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이 게임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가 존재할까? ... ...
- [수학 히어로, 출동! 슈퍼 M] 머리카락이 몇 개인지 어떻게 세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넓이는 1cm²예요. 2단계. 머리카락이 자라는 부분의 넓이를 구한다. 어른의 머리 크기를 기준으로, 머리카락이 자라는 부분의 넓이를 어림하면 약 763cm²예요. 어린이의 머리카락이 자라는 부분의 넓이는 약 633cm²이지요. 3단계. 전체 머리카락의 개수를 계산한다. 1cm² 안에 머리카락이 약 130개 ... ...
- [만화 뉴스] 순식간에 합쳐지는 물방울, ISS에서는 느리게 합쳐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물방울이 합쳐지는 모습을 관찰했어요. 지구에서 물방울은 크기가 커질수록 중력의 영향으로 모양이 찌그러집니다. 그런데 우주에서는 중력이 작아서 동그란 물방울을 크게 만들 수 있어요. 그만큼 물방울의 질량도 커져서 천천히 움직이며 합쳐지는 과정을 잘 관찰할수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Mars Dune Alpha)’라는 모의 화성 거주지를 3D 프린팅으로 구축한 것이다. 이 시설은 158m2 크기로, 우주비행사들을 위한 숙소, 주방, 욕실, 의료 시설, 레크리에이션 및 피트니스장, 작물 재배 공간 등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달 표토(달 먼지)를 건축 자재로 활용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2021년 NASA의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불안정성’은 가장 큰 어려움이다. 플라스마는 온도와 밀도가 높을수록 에너지가 크기에, 특정 공간에서 플라스마를 만들수록 엔트로피 법칙에 따라 밖으로 도망가려 한다. 플라스마 상태에서 전자가 움직이며 전류가 발생하는 것도 또다른 불안정성이다. 전류가 흐르면 원자핵이 고르게 ... ...
- [기획] 78만 년 전의 발견 구워라! 그러면 맛있어 지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과정입니다. 그런데 음식물에 열을 가하면 분자 덩어리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크기가 작아져요. 이 과정에서 질긴 식감이 부드러워지기도 하죠. 그래서 같은 양의 음식이라도 구워서 먹으면 날것으로 먹는 것에 비해 소화가 더 잘 되어 영양분 흡수율도 높아져요. 국립과천과학관 임두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3 2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흘러넘치지 않지만, 뚜껑을 열면 물이 넘치는 이유는 페트병 내부의 압력이 외부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페트병 뚜껑을 물속에서 잠그면 페트병에 공기가 적게 들어가는 데다, 페트병을 물에서 꺼내도 뚜껑 때문에 공기가 페트병 안으로 들어오지 못해요. 그래서 페트병 안보다 바깥의 압력이 더 높아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무려 스스로 빛을 내는 0차원 반도체 소재입니다.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퀀텀닷이라도 크기에 따라 발광하는 색이 달라집니다. 디스플레이에서 원하는 색의 빛을 만들려면 특정한 파장의 빛만 뿜어내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기존 물질로는 특정한 파장만 만들기 어렵습니다. 빨간 빛을 만들었는데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