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단서를 찾는 사람에서 만드는 사람으로 방탈출 게임 제작자 김광수 팀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방탈출 게임은 몇 분 만에 탈출하는지를 보는 랭킹 게임이에요. LTE 팀으로 활동하며 지점마다 상위 랭킹에 이름을 올려 조금씩 유명해졌어요. 그러다 방탈출 게임 카페를 운영하시던 한 사장님께서 테마를 직접 만들어 보지 않겠냐고 제안하셨죠. 방탈출을 많이 해 봤으니 테마도 잘 만들 거라고 ... ...
- [가상인터뷰] 게와 새우를 합쳐놓은 듯한 게 화석 '키메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등의 공동 연구팀이 우리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어. 발굴 지점을 근거로 키메라는 현재의 콜롬비아, 북아 프리카, 미국 등에 살았다고 밝혔지. 친구들을 위해서 네 모습을 자세히 설명해줘. 화석을 복원한 결과, 연구팀은 우리가 500원짜리 동전 크기만큼 매우 작고, ...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정보 처리 과정은 메타 수준(meta level)과 대상 수준(object level)으로 구분된다. 두 가상의 지점 사이에서 정보가 움직이는데, 이때 정보가 이동하는 통로가 모니터링과 제어에 해당한다.먼저 우리가 인식하는 정보는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 수준에서 메타 수준으로 이동한다. 메타 수준에서는 제어를 ...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적용했습니다.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바닥에 평행하게 칼이 움직일 때, 원하는 지점에서 참여자가 ‘멈춰라!’ 하고 외치는 겁니다. 그리고 먼저 외친 사람에게 조각을 줍니다. 케이크 분배가 끝날 때까지 남은 사람들은 ‘멈춰라’를 외치고 모든 사람이 케이크를 가지면 분배가 끝나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범죄 현장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 찾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피가 직선으로 뻗어간다고 가정하고 피의 모양과 방향에 맞춰 실을 연결해 피가 발생한 지점을 찾는 거죠. 하지만 연구팀은 실 연결법이 중력이나 공기의 항력, 핏방울 사이의 상호작용 같은 물리적인 현상을 무시해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팀은 유체역학을 고려해 피를 ... ...
- 산불이 매년 찾아오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타고 바싹 마른 산으로 옮겨 가 빠르게 번졌지요. 인제와 강릉-동해 산불은 아직 발화지점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산불의 원인을 지구 단위에서 찾기산불 발생의 원인을 아시아의 기후로 설명하려는 과학자도 있어요. 작년 전남대학교 정지훈 교수팀은 아시아 주변의 해양 온도, 대기 ... ...
- 산불 철저하고 확실하게 대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여기서 채널은 위성이 볼 수 있는 파장을 의미하지요. 즉 열에너지를 분석해 산불의 발화 지점이나 피해 면적을, 연기를 보고 산불의 이동 방향을 알아내는 거예요. 이 분석에는 기상청이 개발한 알고리즘이 활용된답니다. 현재는 센서가 제대로 기능을 하는지 시험 중이에요. 국가기상위성센터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설정할 수밖에 없다. 발사체의 비행을 강제적으로 중단시키는 경우에는 발사체가 그 지점에서 바로 낙하하지 않고 관성력에 의해 더 멀리 날아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순간낙하점 한계선). 이를 사전에 판단하고 폭파 명령을 내리기까지의 시간 지연을 고려해 비행종단 한계선은 순간낙하점 ...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한 파이프에서만 3783m 깊이에서 카메라가 더 내려가지 않았어요. 연구단은 이를 통해 3783m 지점을 지나가는 단층이 있고, 지진이 날 때 단층이 어긋나며 그 파이프를 부러뜨렸다고 추정했답니다. 즉, 연구팀은 한 파이프에 고압의 물을 넣을 때 한 단층면에서 작은 지진들이 발생했고, 작은 지진들이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상어와 비슷하다. 물속에 들어가면 자신의 무게와 동일한 부력을 받도록 설계돼 원하는 지점에서 그대로 머물 수 있다. 해미래에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카메라 8대, 로봇팔 2대 등 탐사에 필요한 장비가 달려있고, 원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조 연구원은 “처음 개발했을 때보다 해미래의 성능이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