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추석 날짜는 왜 해마다 달라지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넣기로 했어요. 윤달을 넣으면, 어떤 해에는 음력 1년이 13개월이 돼요. 윤달이 1년 중 어디에 들어가는지는 일정하지 않아서 어떤 해에는 2월이 두 번일 수도 있고, 또 다른 해에는 3월이 두 번일 수도 있지요. 그래서 음력 날짜를 양력 날짜로 보면 해마다 달라질 수밖에 없답니다 ... ...
- [도전! M 체스마스터] 피할 수 없는 공격, 퀸과 함께 체크메이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다른 기물의 도움을 받아서 체크메이트를 해요. 도망칠 수 수 없을걸? 아래 그림 중 왼쪽에서 검은색 킹은 자기 팀 기물과 흰색 나이트에 둘러싸여 갈 곳이 없어요. 이때, 흰색 나이트가 h6로 이동하면 d5의 흰색 퀸, h6의 흰색 나이트가 동시에 공격하게 되므로 검은색 킹은 체크메이트 돼요. 오른쪽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빨간 망토, 수수께끼를 맞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맞혀봐! 그럼 지나가게 해줄게.” 수수께끼를 맞히고 콧노래를 부르며 걷던 중, 늑대가 또다시 길을 막아섰어요.“짜잔! 이번에는 시계가 4개나 있지롱~. 마지막 시계의 시각을 맞혀봐!” 시계들이 나란히 줄지어 있는데, [4]번만 시곗바늘이 없어요. 시계 사이의 규칙을 찾으면 [4]번의 시각을 알 수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단위도 있어! 맛을 어떻게 재냐고? 나 브릭스(Brix)를 알면 단맛을 잴 수 있지. 딸기와 레몬 중 어떤 게 더 달콤할까? 당연히 딸기라고? 어디 보자, 오늘 마트에서 사 온 딸기와 레몬의 당도★를 재보니 딸기는레몬도 똑같이 8Brix네! 딸기와 레몬 둘 다 100g 안에 당★이 8g만큼 들어있다는 뜻이야. Brix는 ... ...
- [가상 인터뷰] 해열제, 얼리면 독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아세트아미노펜이 북극에서도 발견돼? 아세트아미노펜은 북극에서 검출된 의약품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해. 연구팀은 아세트아미노펜과 아질산염이 모두 있으면서물이 얼 수 있는 환경을 가진 장소라면 어디서나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 극지연구소 김기태 책임연구원은 “최근 ... ...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완성! 수업 후에는 12명의 어린이 독자 기자들이 함께 레고 분추토끼와 지 블롭 로봇 중 하나를 선택해 조립해 보았어요. 어린이 독자 기자들은 만화책처럼 되어 있는 조립 설명서를 따라 부품을 찾아 끼우며 차근차근 조립해 나갔습니다. 분추토끼는 롤러스케이트 또는 꿀벌 모드로 골라 조립했고 ... ...
- 별과 별 사이 거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1년 동안 움직이는 거리로, 약 9조 4608억km에 달해요. 지금까지 발견한 별들 중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고래자리에 있는 별 ‘어렌델’이에요. 어렌델은 지구로부터 약 280억 광년만큼 멀리 있는데,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280억 년을 달려가야만 어렌델에 닿을 수 있는 거예요. 어렌델이 ... ...
- 물에 잠긴 목포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힘에 의해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오르거나 내려가는 현상을 말해요. 이때 하루 중 해수면이 가장 높아졌을 때를 만조, 반대로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를 간조라고 합니다. 또 만조와 간조 시의 수위 차이를 조차라고 해요. 목포에는 영산강하굿둑이 있습니다. 하굿둑은 강의 입구에 설치돼 바닷물이 ... ...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북쪽에서 내려오는 북한한류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대마난류가 있습니다. 대마난류 중에서도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갈라지며 북상하는 해류를 동한난류라고 해요. 그런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동한난류의 흐름이 더 강해졌습니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는 “기후변화로 바람과 ... ...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연구팀은 마네킹에 직모나 곱슬머리 등 다양한 형태의 가발을 씌워 실험했는데, 그중 곱슬머리가 열을 막는 효과가 가장 뛰어났습니다. 곱슬머리는 직모에 비해 두피와 머리카락 사이에 공간을 많이 확보해서 바람이 그 사이로 지나가며 열을 식혔거든요. 연구팀은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초기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