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아시아 최초 청소년 기후변화 소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을 만들며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지나치게 낮게 정해 파리협약*을 지킬 수 없다고 지적했어요. 파리협약을 지키려면 전 세계가 2030년까지 탄소를 410억 톤CO2eq.만 배출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파리협약 비준 국가들의 계획은 그보다 150억 톤CO2eq.가 많기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그들의 도움으로 소송 계획을 구체적으로 짤 수 있었다. 올해 1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해 놓은 법률을 살펴보면서, 생명권, 환경권, 행복추구권 등 우리의 기본권이 침해②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승소할 수 있겠다는 희망과 가능성이 생겨 헌법소원③을 청구하게 됐다. 우리가 청구한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꼽히는 구조생물학자였다. 권 부문장은 “조건은 제안이 온 곳 모두 좋았지만, 거처가 정해지기 전에 친히 숙소를 잡아 주는 리치 교수의 배려에 함께 일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회상했다. 리치 교수의 연구실에서 일하면서도 권 부문장은 MIT 근처의 크고 작은 바이오벤처와 제약 회사 등에서 근무할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후 각자 원하는 전공을 15개 정도 지망하면, 1~2학년 때 받은 성적순으로 전공이 정해지고 전공과정에 진학한다.교양학부와 전공과정은 수업을 듣는 캠퍼스가 달라 수업 분위기도 꽤 다르다. 교양학부 때는 코마바 캠퍼스에서 수업을 듣는데, 실험실과 연구실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강의실이다. ... ...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있습니다. 이런 산업현장은 움직이는 동선이나 반경, 그리고 해야 하는 일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죠. 이를 ‘구조화됐다(structured)’고 합니다. 하지만 산업현장 밖은 수많은 변수가 항상 존재하는 ‘비구조화된(unstructured)’ 세상입니다. 사람들은 매 순간 수많은 변수에 잘 적응하며 살고 있지만, 아직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기둥 없이 튼튼! 지오데식 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트러스 구조가 안정적인 이유는 삼각형의 성질에 있어요. 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정해지면 단 하나의 모양만 만들 수 있거든요. 이 때문에 삼각형 구조물은 한 변을 옆으로 밀어도 모양이 변하지 않아요. 이와 달리, 사각형 구조물은 옆에서 밀면 쉽게 마름모 등으로 모양이 변하지요. 이런 안정성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결정된다.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질 수 있는 에너지값 전체를 총칭하는 말)는 물질마다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같은 물질로 만든 발광소자는 같은 빛을 낸다. 퀀텀닷이 빛을 내는 원리도 이와 유사하다. 다만, 퀀텀닷은 지름이 2~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로 매우 작은 반도체 나노입자다. ... ...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렇게까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숙제는 어쨌든 주어진 문제만 풀면 되기 때문에 끝이 정해져 있다. 그러나 연구 수업은 이야기가 다르다. 연구에는 끝이 없고, 진행 단계와 무관하게 생각할 문제들과 시도할 일들이 쌓여있다. 그래서 여가를 즐길 때도 마음 한편에 연구 주제가 늘 자리 잡고 있다.또 ... ...
-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무작위에 가까우면 마르코프 연쇄의 각 변수가 나타내는 수열의 확률 분포가 거의 일정해진다. 수열의 각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수의 후보가 52개로 같아지기 때문이다. 즉 수에 따른 확률 분포 사이의 차이가 0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작위로 섞였을 때의 균일한 확률 분포와 섞은 횟수 t에 따른 ... ...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수가 정해진 경우가 있다)가 없거나 매우 길다. 카를스루에공대는 전공마다 최대학기가 정해져 있다. 잦은 낙제로 졸업이 계속 늦어진 학생들은 대개 9~10학기 안에 졸업한다. 독일에선 수능을 한 번 보면 성적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능을 잘 본 학생들은 전학이나 전과가 쉽다. 그래서 낙제로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