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자"(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보면, 오래 함께 한 부부라도 갈등을 대하는 모습에는 극명한 차이가 있다. 논문의 저자인 미국 럿거스대 데보라 칼 교수팀은 60세 이상 부부 394명을 대상으로 부부 사이에 갈등이 있을 때 언제 상실감을 느끼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아내는 남편의 감정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거나 불만 사항을 남편과 ... ...
- [News & Issue]“지켜보고 있다” 쓰레기 투기 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주변에 다른 사람이 있을 때 반사회적 행동이 줄어드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 공동저자인 뉴캐슬대 다니엘 네틀 교수는 “반사회적 행동을 여러 번 지적하는 것보다 타인의 시선을 한 번 느껴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생물학·의학 분야 전문지 ‘피어제이(PeerJ)’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떨어진다.모리아티의 수학적 취향 “모리아티 교수가 바로 그 유명한 을 쓴저자가 아니겠어? 순수 수학에서 너무나 높은 경지에 올라서과학계에서도 그를 비판할 사람이 없을 정도야.” 모리아티의 논문주제인 이항정리는 당시에 유행하던 연구 주제였다. 이항정리란, ... ...
- 미국에서 가장 귀한 새를 수배합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활동가로 일하며 멸종 위기 동물에 대한 논픽션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는 저자는, 이 새가 왜 사냥됐고 서식지는 왜, 어떻게 사라졌는지를 다양한 자료를 통해 뭉근하고 끈질기게 추적한다. 그의 또 다른 저서인 ‘문버드’처럼, 그저 사실을 담담하게 풀어 쓰는 방식으로 독자의 마음에 큰 파장을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집요하게 박사까지 하라고 강요했다. 나중에는 석사학위를 인질로 잡고 협박을 했다. 제1저자로 진행하고 있던 논문에서 내 이름을 빼고 동시에 학위를 주지 않겠다고 했다. 그래도 박사 진학을 거부하자 “극단주의자”, “인간말종” 등 험악한 말들이 쏟아졌다.내가 연구를 하는 이유를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11월호에서 밝혔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지역의 기후변화를 다룬 논문의 제1저자가 아프리카 지역의 전문가인 경우는 20%에 불과했다. 콩고 공화국과 북한에 대한 논문은 72개인데, 그 가운데 이들 나라의 전문가가 연구에 참여한 논문은 단 하나도 없었다. 파스가르드 교수는 논문에서 “선진국과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폐) 온어 칩(lung on a chip)’은 2010년 ‘사이언스’를 통해 처음 공개됐다(이 논문의 제1저자는 지금은 미국 펜실베니아대 조교수인, 허동은 당시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연구원이었다). 연구팀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이라는 합성수지를 이용해 칩을 만들었다. 두께가 10㎛(1㎛·100만 분의 1m)인 PDMS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정밀하게 측정할 도구가 부족하다. 다행히 이 문제는 개선되고 있다. 셀 논문의 제1저자인 캐나다 맥길대의 주디스 맨들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유전자가 전사될 때 나오는 물질들을 파악할 수 있는 ‘RNA시퀀싱’ 등 새로운 기술이 발달하면서 연구에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진행되었으며 카지타 교수가 노벨상을 받은 논문에는 필자와 서울대 연구진도 공동저자로 참여했다.수퍼카미오칸데 실험의 책임자는 동경대의 요지 토츠카 교수였다. 그는 코시바 교수의 제자인데 1998년 대기 중성미자 진동변환 발견으로 노벨상 수상이 유력했다. 2001년 수퍼카미오칸데에서는 ...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모두 초식을 한다. 인류는 유독 고기를 먹는다. 그 기원에 대한 힌트를 얻기 위해, 저자는 170만 년전에 살았던 호모 에렉투스의 뼈 화석 한 점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특이하게도 단면이 두꺼운 이 뼈 화석은, 그 주인이 생전에 비타민A 과다증에 의한 출혈을 겪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비타민A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