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경
경관
풍경
경치
무대
배경
사태
d라이브러리
"
장면
"(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것이다. 가령 미국 영화배우 제니퍼 애니스톤의 이름이나 사진, 드라마나 영화의 한
장면
을 볼 때 뇌에서는 각기 다른 뉴런들이 활성화되지만, 공통적으로 활성화되는 뉴런들이 있다. 이 모든 정보들의 교집합인 제니퍼 애니스톤을 떠올리게 하는 허브 셀이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허브 셀은 뇌 영역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망연자실하고 만다. 2008년 개봉한 영화 ‘신기전’의 하이라이트로 꼽을 수 있는 전투
장면
이다. 신기전(神機箭)은 조선 세종 시대에 개발된 독창적인 화약무기로 상세한 제작 자료가 남아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로켓이다. 최무선의 ‘주화’ 세종 시대 개량지금으로부터 14년 전인 2004년 ... ...
[화보] 한국의 산지승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하나뿐인 목조탑인 ‘팔상전’으로 유명하다. 벽면에 석가모니 부처의 일생을 8개의
장면
으로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사진은 팔상도가 있는 팔상전 내부다. 부석사 부석사는 경북 영주시 소백산 국립공원의 봉황산에 위치해 있다. 신라 문무왕 16년(67 ... ...
[과학뉴스] 화면에 자동으로 소리 입히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수십 장의 그림을 촬영한 뒤 성우의 목소리, 효과음 등의 소리를 덧입혀야 비로소 한
장면
이 완성된다. 그런데 최근 영상만 있다면 소리가 저절로 만들어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됐다.더그 제임스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사물의 움직임을 계산해서 ... ...
[Culture] 신과 함께? CG와 함께! 지옥과 현실을 잇는 컴퓨터그래픽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영화 초반에 김자홍(차태현)이 아이를 안고 불길이 치솟는 빌딩에서 뛰어내리는
장면
이 휴먼 스캔 솔루션으로 제작된 디지털 배우로 만든 것이다. 유태경 덱스터스튜디오 크리에이티브 개발실장은 “휴먼 스캔 솔루션에는 카메라 120대와 조명 수백 개를 장착한 스캔 장비가 필요하다”며 ... ...
‘아름다운 밤이에요’ 밤이 품은 진풍경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있는 활화산이에요. 활동성이 무척 강해서 지금까지 40번이 넘게폭발했지요. 폭발
장면
을 밤에 보면 새빨간 용암과 함께 화산재가 마찰해 만든 화산번개를 명확하게 볼 수 있어요. 트벵거 호수 오스트리아 트벵거 호수 위로 별이 강처럼 흐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많은 천체가 모인 은하를 강에 ... ...
신과 함께? CG와 함께!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신과 함께2’에서 특히 힘들었던거나 기억나는
장면
이 있나요?강원철) 물이 나오는
장면
입니다. CG에서 물은 표현하기 어렵거든요. 가만히 흐르는 건 그래도 나은 편인데 커다란 물고기가 헤엄친다든가 큰 파도가 친다든가 하는 상호작용이 있을 때는 원하는 모양과 움직임을 만드는 게 무척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개봉 예정작이라 패스! ‘고산자, 대동여지도’에는 별 세 개를 드리겠습니다. 일단 첫
장면
에서부터 ‘과학 덕후’들의 기대감을 자아냅니다. 왕의 행차에 실시간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기리고차’라는 수레가 등장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과학적인 내용이 많지 않아 ... ...
Part 5.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영화였습니다. 분진 입자의 넓은 표면적을 활용해 폭발을 일으킨 뒤 위기에서 탈출하는
장면
이나, 열과 충격을 반복적으로 가해 강도를 높인 금속 무기 이야기, 그리고 루빅스 큐브까지 다양한 수학, 과학적인 요소가 등장해 ‘과학 덕후’들의 덕심을 자극합니다.기사를 읽고 영화를 본다면 현대의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등장시키지 못했다. 옷감을 바느질해 옷을 만들거나 염색한 옷감을 바람에 말리는
장면
으로 직조술을 보여주는 데 그쳤다. 심 교수는 “직기를 복원하려면 연구에만 수년이 걸린다”며 “당시 문직기 복원을 연구하고 있었지만 시간이 부족해 결국 영화에 등장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