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치"(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일부는 안에 남아 진동한다. 이때 리코더 몸체가 갖고 있는 진동수와 공기의 진동수가 일치할 경우, 공기의 진동이 커지면서 소리가 나게 된다. 이처럼 두 진동의 진동수가 합쳐지는 현상을 ‘공명’이라고 한다. 리코더의 구멍을 막으면 관 안에 있는 공기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더 늘어나면서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상이 일치하면 같은 종, 94% 이상 일치하면 같은 속, 90% 이상 일치하면 같은 과, 85% 이상 일치하면 같은 목 등으로 분류한다. 헤네지 교수는 이런 분류 기준이 ‘충분히 세밀하지않다(coarse)’고 비판했다. 예를 들어 비만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장내미생물을 문(phylum) 단위로 분류하는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높이는 90m 정도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학자 헤르도토스의 기록과 발굴 결과 모두 90m로 일치한다. 오늘날 아파트 30층 높이로, 하늘에 닿을 정도의 높이는 아니다. 에테메난키를 짓는 데 사용된 벽돌은 무려 3600만 장 이상이다. 공사 기간만 수십 년. 바빌론 유수로 바빌론에 끌려온 유대인들도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자신이 어릴 적 많이 그렸던 도형이 다빈치가 레오나르도 돔의 설계도에 그린 도형과 일치한다는 걸 발견했어요. 이후부터 레오나르도 돔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도형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그 결과 여러 사람이 힘을 모으면 손쉽게 튼튼하면서도 거대한 돔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결정하는 관절의 각도와 위치를 변수로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그림자가 목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했다.연구팀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코끼리와 토끼처럼 복잡하게 생긴 동물에 대해서도 적절한 동작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해당 동작을 3D프린터로 출력해 빛을 비춰본 결과 목표했던 그림자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 사이에서 GMO가 안전하다는 것은 학문적으로 일치된 바다(scientific consensus).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GMO는 식물 육종을 위한 방법이지, 전혀 다른 식물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전통적으로 육종된 식물들(관행육종, conventional breeding)이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설명했다.그렇다면 과연 디자이너는 exact 수열을 의도해서 디자인한 걸까? 아니면 우연의 일치였을까? 이지선 SM엔터테인먼트 홍보팀 사원은 디자인에 대해 “팬들이 다양한 해석을 하길 원하기 때문에 알려줄 수 없다”며, “그 답은 디자이너만 알고 있다”고 밝혔다.다음에는 엑소가 어떤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역에도 쓰레기 섬 5개가 생겼는데, 그 위치와 해류가 소용돌이치는 지역이 완벽히 일치하지요.해양동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물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무조건 물에 뜰 거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수면에서 2~3m 아래 깊이의 바닷물은 바람의 영향을 받아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먼저 생기고 일부가 합쳐지면서 무거운 은하로 진화하기 때문이다.문제는 이론과 관측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물리법칙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해보면, 극도로 무거운 은하와 극도로 가벼운 은하 모두 최대 10배 더 많아야 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우리가 미처 모르는, 새로운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짧은 시간만에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불과 몇 달 뒤에는 ‘놀라운 우연의 일치로’ 그의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을 할 인공위성 ‘가이아(GAIA)’를 유럽우주국(ESA)에서 쏘아 올렸다. 그는 “수 년 내로 가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가설에서 중력과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