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d라이브러리
"
용암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 분출물이 계속쌓여 만들어진 한라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최초의 화산활동은 75만년 전보다 훨씬 전일 것은 확실하다. 제주도의 최고봉인 백록담
용암
의 연령이 약 2만5천년을 보이므로, 제주도의 현재와 같은 전체 모습은 약 75만년 ~ 2만5천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제주도는 화산분출물이 한겹한겹 쌓여서 이루어진 섬이기 때문이다 ... ...
원시지구의 마그마는 바위도 녹이는 초고압 초고온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지표에 나오는 수도 있다.이것을 비교적 낮은 압력 아래서 녹이면 현무암의
용암
을 닮은것이 된다.이것은 지금도 대서양의 중앙부 해령이나 하와이등지에서 분출되고 있는 마그마와 같은 것이다.그러나 지하 1백90km에 해당되는 고압아래서 녹이면 '코마치아이트'라는 약 30억년전의 지구에서만 볼 수 ... ...
일본의 화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이 점프함으로써 분화의 클라이막스가 시작되었다. 새로운 불길을 연 폭발은 직경 50cm의
용암
괴가 10km나 떨어진 지점까지 내던져질 정도로 격렬한 것이었다. 대량의 마그마 분출로 지표는 함몰되었다. 이렇게 하여 현재의 카고시마 일대 지형을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지진과 일본화산과 함께 ... ...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그때까지 화산활동이 없었던 이 섬을 둘러싸는 것처럼 대지의 벌어진 틈에서 대규모의
용암
분출이 일어난 것은 중생대가 끝날 무렵의 일이었다.생물진화의 증인대륙에서 완전히 떨어져 나온 신생대의 이 섬에서는 독특한 생물이 분화되어서는 멸절되어 현재의 동식물상이 형성되어 갔다고 ... ...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동굴내부에는
용암
석순의 무리가 많고
용암
주, 고사리형
용암
종유, 그밖에 규산화현상도 볼 수 있는 동굴이다. □구린굴 한라산 북쪽중턱인 해발 7백60m지점에 있는 화산동굴로 총연장 3백80m길이의 동굴이다. 동굴내부에는 작전기지로 사용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는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울릉도에 급경사의 암벽이 많은 것은 조면암이 많기 때문이다. 점성도가 큰 조면암류가
용암
으로 분출되면 쉽게 굳어지므로 급경사가 되는 것이다. 마치 밀가루반죽이 묽으면 널리 퍼지지만, 되면 그 반대인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나 오늘날의 울릉도 모습은 풍화작용 침식작용 등으로 많이 깎여 ... ...
킬리만자로(kilimanjaro)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등 특색있는 식물도 분포한다.거대한 풀 킬리만자로는 표고 3천5백m를 넘는 곳에서
용암
대지(溶岩台地)가 얼굴을 보인다. 대지 언저리의 습지 가장자리나 고층습원에서는 킬리만자로의 거인 자이안트세네시오가 자란다. 극동에도 분포하여 습지를 좋아하는 것은 공통되지만 높이는 수m나 되어 표고 ... ...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해양저로 나오는 사이에 굳어진 것이 있다. 또 그 위에는 해저에서 형성된 침상용
용암
이 덮이고 최후로 그 위에 쌓인 고대의 바다 퇴적물이 있다. 1981년초에는 아라비아반도의 오만에서 오피오라이트가 발견되었다. 여기서는 대양저의 오피오라이트가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키프로스의 ... ...
인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대륙이 남은 일부여서 오래된 지층으로 구성되어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북서부는 넓은
용암
지대로 그 풍화토양은 면화재배에 적당하다.인도받도의 해안은 동쪽과 서쪽이 달라 서쪽연안은 넓은 평야가 없다. 다만 북쪽끝에 카티아와르 반도가 튀어나와 커치만과 캄바트만을 만들고 캄바트만 연안에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땅위로는 1시간에 1㎞의 속도로
용암
이 흘러 내리면서 주변의 삼림을 모조리 태워버렸다.
용암
이 흘러든 주변의 호수는 잠시 자욱하던 수증기가 걷히고 나자 호수흔적이 없어져 버렸다. 주변일대는 화산분출물로 덮여 황량해졌다. 이 분화활동은 그후 2차,3차로 계속되다가 76년 12월에야 끝났다 ... ...
이전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