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밀도"(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은 20세기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같은 혁신적인 물리학 이론이 나오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현상을 보는 대로 이해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그 속에 숨어 있는 진리를 탐구하려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우주와 같은 거대 세계도 예외가 아니다. 그 결과 우리의 ...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아이티(규모 7.0), 칠레(규모 8.8)에 이어 터키(규모 6.0)와 대만(규모 6.0)에 이르기까지 최근 석 달 새 큰 지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면서 지구에 무슨 변고가 생긴 게 아닌지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앞으로도 강진이 계속해서 일어날까. 최근 지진에서 이슈로 떠오른 궁금증을 풀어보고 지진 예측 ...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안녕하십니까? 새해 첫 월요일, 우리나라에는 100여 년 만에 25.8㎝의 최대 폭설이 내려 전국이 눈폭탄에 파묻히고 말았습니다. 이후 영하 20℃를 밑도는 체감온도로 유독 추운 겨울이 이어졌는데요, 이런 현상은 중국, 북미, 유럽 등 북반구 곳곳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편, 남반구에는 백 ...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이제껏 현미경으로 세포의 생김새만 파악할 수는 있었습니다. 하지만 소화나 순환, 호흡, 배설과 같이 세포 내부에서 일어나는 활동은 아직 보지못해요. 세포가 활동할 때 단백질이나 이온이 넘나드는데, 이런 현상을 규명하려면 살아 있는 세포를 찍는 현미경이 필요하거든요. 우리는 그 현상을 ...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과학동아 l2010년 02호
- 흰 가운과 스포이트, 색색의 시약이 들어 있는 플라스크…. 흔히 ‘화학’ 하면 복잡한 화학식과 함께 이러한 실험실 이미지가 떠오른다. 그러나 화학을 이용해 신문 속 사진을 움직이게 하고, 명함처럼 얇은 전지를 만들 수 있다면? 영화 속 이야기 같지만, 서울대 재료공학부 박수영 교수의 분자광 ...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을 발견한 사 실을 지금으로부터 딱 400년 전인 1610년 1월 7일 쓴 한 편지에 언급했 다. 이 편지에서 갈릴레오는 목성 부근에서 ‘별’ 3개를 발견했다고 썼다. 이 발견은 갈릴레오가 30배의 배율로 볼 수 있게 망원경을 개량한 1609년 12월 에 ...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안녕하세요? 이번에 빙하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나무늘보 역할로 온갖 액션 연기를 소화한 시드입니다~! 이번 영화에서 생긴 에피소드요? 물론 있지요. 촬영을 마치고 동료 연기자인 매머드와 함께 빙하기가 오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어요.세트였지만 하얀 눈이 사방에 덮여 있으니 아 ...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3호
- '휘익~, 툭!'킁킁, 나 …. 지금 쓰레기통에 온 거니? 이럴 수가…! 과자를 담아 사람들에게 고이 전해주었건만, 공을 알아 주긴 커녕 쓰레기통에 버리다니 …. 사람들이 내가 가긴 재주를 몰라서 그러나 본데, 아마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어라, 내 말을 안 믿는 표정들인데 …. 날 따라와 봐. 내 얘길 ... ...
- 일본, 우주태양광발전소 짓는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일본이 우주에 태양광발전소를 짓겠다며 본격적으로 나섰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030년까지 우주에 태양광발전소를 세워 이곳에서 얻은 에너지를 지구로 끌어오겠다고 10월 9일 밝혔다. 프로젝트의 이름은 ‘우주태양력시스템(SSPS)’.수km2에 이르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해 태양에너지 ...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블록은 별이 아니라 별이 수천억 개 모여 있는 은하다. 은하가 어떻게 탄생하고 진화해왔으며, 어떻게 움직이고 무리를 이루는지가 우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우리은하도 홀로 있지 않다. ‘형제 은하’인 안드로메다은하를 비롯해 30여 개의 은하들과 함께 무리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