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로
위아래
질서
작은길
소로
d라이브러리
"
상하
"(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화면으로 오버랩된다. "12분 동안 진기한 자연의 모습과 인간의 창조적 활동을 감
상하
고 나면 생명체의 아름다움과 끈질긴 생명력의 본질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되며, 아울러 인간도 자연을 구성하는 한 부분임을 깨닫게 된다"고 송창환 엑스포 추진팀장은 말했다. 인간의 상상을 읽는 마인드 랩 ... ...
보고 만지고 타보면서 느끼는 산 체험의 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시속 2백50~3백㎞의 속도감을 느낄 수 있다. "자동차가 직접 달리는 것이 아니고 전후 좌우
상하
운동만을 할뿐이지만 탑승객은 자동차를 타고 달리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고 제작진은 밝혔다.보조수단으로 등장하는 것이 영화 스크린이다. 영상에는 2050년의 서울 모습이 펼쳐지게 되는데 자동차가 ... ...
유조선 중간갑판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이상의 효과를 갖는 구조'를 적절하게 활용한 것이다.중간갑판구조란 유조선의 탱크를
상하
2단으로 구분한 구조를 말한다. 이렇게 하면 가벼운 사고시 원유가 해수보다 가볍기 때문에 기름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큰 사고시에도 원유와 해수가 균형을 이루는 시점에서 기름유출이 중단된다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달의 분화구나 목성의 위성도 관측할 수 있어 관측자를 흥분시킨다.게다가 쌍안경은
상하
좌우가 뒤집혀 보이는 천체망원경과는 달리 맨눈으로 보는 것과 같이 보이는 정립상이기 때문에 관측하기도 좋다. 쌍안경이나 소형망원경만으로도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천문학의 세계는 더 넓어지게 된다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보면 좌우의 벽면과 천장 모두가 화면인 셈. 따라서 관객들은 비스듬히 누워서 화면을 감
상하
게 된다. 옴니맥스 화면은 구멍이 송송 뚫려 있다. 바닥을 제외한 모든 공간이 화면이어서 음향장치를 비롯 각종 보조장치가 화면 뒤에 자리잡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15분 동안 상영될 옴니맥스 영화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에 능동부(혀 아랫니 아래 입술)가 닿는 점을 기준으로 자음을 분류한 것이다.1. 양순음 -
상하
두 입술을 다물었다 내는 소리로 /ㅂ ㅍ ㅃ ㅁ/ 등이 이에 속한다.2. 치조음 - 혀를 윗니 바로 뒤의 치조에 대고 조음하는 소리로 /ㄷ ㄸ ㅌ ㄴ ㅅ ㅆ ㄹ/ 등이 이에 속한다.3. 경구개음 - 경구개와 혀의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높낮이를 조절해 삼각다리를 지면에 수평되게 조절한다.②뒤쪽에 붙어 있는 극축
상하
미동장치의 조정나사를 돌려 적경축을 관측지점의 위도와 일치되는 경사각도로 조절한다(서울지방의 경우 약 37.5도).③극축 좌우미동장치를 조정해 적경축을 하늘의 북극방향이 되도록 한다. 정확히 북쪽을 알기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두드린후 1~2초 이내에 진동이 멈추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이 떨릴 가능성이 크다.
상하
좌우로 흔들어 보았을 때 끄덕거림이 적어야 한다.□ 기동성과 조립, 분해도는?혼자 쉽게 운반할 수 있는지, 자신의 차에 들어갈 수 있는지, 운반용 상자가 있는지도 확인해야 하고, 최소의 공구로 조립 및 ... ...
2 침술로 암치료까지 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새로운 침술요법이다. 침마취 후 직류전기로 암세포 죽여혈위천선요법이란 경혈의
상하
혹은 좌우로 각 1.5~2.5cm 부위를 프로카인으로 피내침윤마취해 직경 0.3~0.5 ㎝의 피구(皮丘)를 만든 다음 봉합용 실을 꿴 삼각침으로 피구에서 찔러 심층 근육조직을 거쳐 경혈을 꿰뚫어서 피구의 다른 쪽으로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수행한다.대류권(보통 지상 12km까지)은 지표면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대기의
상하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최소한 이 권은 넘어야한다는 것이 선결과제. 12km를 넘어서도 제트기류 등의 복병이 도사리고 있지만 성층권(12-80km)은 대류권보다는 기층이 매우 안정돼 있어 비행선이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