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ard
게시판
Board
메인보드
알림장
baud
스위치무역
d라이브러리
"
보드
"(으)로 총 589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지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로 창의프로그램 UEE(UNIST e-Education)의 일환이었다. 블랙
보드
를 통해 질문을 올리면 실시간으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과제확인도 가능하다. 강의자료를 이용해 복습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해 학생이 주도한 토론활동을 유도하는 등 교육적 성과를 거뒀다. ... ...
바둑도 수학규칙 따른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바둑과 같은
보드
게임은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게임이다. 이와 같은 게임은 공간과 움직임이 제한적이라서 어렵지 않게 컴퓨터 게임으로 만들 수 있다.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를 이용해 바둑이나 체스와 같은 게임을 즐기고 있다. 만약 이런 게임을 컴퓨터와 사람이 대결한다면, 그 결과는 ... ...
가정의 달에 어울리는 과학 상품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재미있는 과학 상품이 있으면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둘러앉아
보드
게임을 하거나 야외에서 배팅 연습을 하면 어떨까. 폼 나는 망원경을 주머니에 찔러 넣고 여행을 떠나도 좋을 것이다. 가정의 달에 만나면 좋을 상품을 소개한다.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개최한 것이다. 회의에 참가한 몰디브 정부의 장관들은 종이 서류 대신 화이트
보드
와 유성 잉크를 사용한 방수펜으로 서명하고 회의를 진행했다.더 이상 물이 무섭지 않은 전자기기전자기기들이 물을 두려워하지 않게 바뀌고 있다. 가벼운 방수 기능을 넘어서 아예 물 속에서도 사용할 있도록 ... ...
[수학클리닉] 삼각비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우리가 직접 잴 수 없는 거리나 높이, 삼각형의 넓이 등을 구할수 있어요. 12쪽 화이트
보드
에 적힌‘63빌딩의 높이를 구하는 문제’를 보면서 설명해 줄게요. 그림❷를 함께 살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먼저 측정자는 건물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건물 앞에 바로 섭니다. 그 자리에서 ... ...
학생의, 학생에 의힌, 학생을 위한 수학체험전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수학교구와
보드
게임이다. 이 중 하나인‘달걀 퍼즐’은 기존의 칠교놀이를 변형한
보드
게임이다. 달걀 모양을 닮은 타원형을 부채꼴 모양이나 둥근 면을 가진 조각 등 9조각으로 잘라져 있어 다양한 모습의 새를 만들 수 있었다. 이번 행사에는 미동초 학생을 포함해 100여 명의 서울 서부지역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나뉘어 있다. 예를 들어 놀이 속의 수학에는 러시아워, 머긴스게임, 펜토미노와 같은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입체도형의 세계에는 빨대와 스티로폼, 나무 조각과 같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입체도형을 직접 만들 수 있다.전시관 입구에 들어서자마자‘지오데식 돔’과‘시어핀스키 ... ...
Hackers Use Heat from Fingertips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는 해커가 ATM의 메인 회로 혹은 마더
보드
로 접근하는 방법을 보였다. 그가 마더
보드
의 USB포트를 사용해 자신이 만든 소프트웨어를 업로드하자 현금인출기의 화면이 바뀌고 음악을 연주하며 지폐를 방출했다. 심지어 물리적인 접근 없이 인터넷으로 ATM에 접근하는 방법도 발견했다.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답니다. 특별히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을 위해 제가 살짝 공개할게요!*스토리
보드
: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의 주요 장면을 그림이나 사진으로 정리한 계획표.인기 캐릭터를 만드는 비법1 개성 넘치는 특색을 가져라제게 특별한 캐릭터는 매우 중요해요. ‘쿵푸팬더2’의 새로운 악당 ‘센’은 ... ...
[수학클리닉] 확률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우리가살아가는 데 커다란 이정표 역할을 한답니다.한 걸음 더여러분은 12쪽 화이트
보드
에 적힌 문제의 답을 고민해 봤나요? 이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배우는 ‘경우의 수’ 단원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어떤 학생들은 같은 색을 2번 칠할 수 있다는 단서 때문에 이 문제가 더 어렵게 느껴진다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