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지구사랑탐사대로 오랫동안 소중한 인연을 이어가고 있는 대원들도 있었습니다. 바로 임주원 대원(임형제가족팀)과 박범현 대원(자연사랑박브르팀)이에요. 둘은 5년째 탐사대원으로 활동하며 친해졌어요. 임주원 대원은 새에 관심이 많고, 박범현 대원은 민물고기를 좋아합니다. 지난해 가장 ... ...
- [냠냠! 어수잼] 해파리 손님 주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한참 고민하던 무니는 이내 밝은 눈으로 대답했어요. “아, 알겠다! 번진 글씨는 바로 8이에요! 왜냐하면 어떤 수에 0을 곱한 값은 언제나 0인데, 사탕을 0개 살 수는 없으니까요. 또,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수도 없지요. 그러니까 사탕을 0개씩 나눠서 포장할 수도 없답니다.” “그렇군요! 그럼 ... ...
- 수학의 도시 프린스턴으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3만여 명의 작은 도시입니다. 그럼에도 훌륭한 업적을 낸 수학자, 과학자가 모인 이유는 바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 때문입니다. 두 기관 모두 순수 학문 분야가 뛰어나기로 유명하지만, 그중에서도 수학은 단연 으뜸입니다. 프린스턴대 수학과는 전 세계 대학교 수학과 중 손꼽히며, ... ...
- DAY2. 아인슈타인의 흔적을 찾아 고등연구소로!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학계에서 이름을 떨친 전 세계 수학자가 모여 있다는 거예요. 바로 옆 연구실, 건너편 연구실만 가도 뛰어난 수학자가 있어서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지요. 수학과에는 박사후연구원이 총 80명 정도인데요. 보통 대학교는 10명 내외이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편이에요. ... ...
- [일타수맨스] 떠오르는 젊은 일타 강사 ★ 안가람의 성공 비법 ★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때까지 수학을 공부한 경력에 있다고 합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지금까지 그의 여정을 바로 만나보세요. 피 터지게 공부했던 영재학교 시절 Q. 학창시절 수학자를 꿈꿨다고 들었어요. 네, 전 초등학생 때 쇼트트랙 선수였는데요. 그러다 4학년 때 학교에서 수학 시험을 쳤는데, 성적이 ... ...
- [가상인터뷰] 죽어서도 색 바꾸는 호그피쉬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눈 깜짝할 사이보다 더 빠르답니다. Q 몸 색을 자유롭게 바꾸는 비결이 뭔가요?비결은 바로 제 피부의 ‘색소세포(chromato-phore)’입니다. 색소세포는 내부에 색소 과립(알갱이)을 가진 세포인데, 저희 피부 표층에 모여있죠. 그래서 제 피부는 가까이에서 보면 점묘화 그림 같아요. 피부를 어둡게 ...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언젠가 쓸모를 찾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트라젝토이드 연구의 중요한 포인트는 바로 ‘2주기 트라젝토이드 법칙’입니다. 앞서 무작위 곡선 경로를 마치 스티커를 떼듯 평면에서 떼낸 다음 그걸 구 위에 두르듯 붙이는 방식으로 트라젝토이드를 만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방법으로 무작위 곡선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출력, 즉 에너지를 바로 증폭하지 않는 데 있다. 레이저가 생성된 뒤, 그 에너지를 바로 증폭할 경우, 레이저가 거쳐 가는 증폭매질이나 거울 등 광학 장비가 에너지를 견디지 못하고 깨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CPA 기술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에돌이발(회절격자)을 이용해 레이저를 파장에 따라 ... ...
- [SF소설] 완벽한 돌봄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덕구는 누가 진짜 어르신인지 알아채지 못할 거예요. 어쨌든, 이제 서명하셨으니, 바로 DNA를 채취하겠습니다. 잠깐 혀를 좀 내밀어 주시겠어요?”그는 가방에서 꺼낸 키트로 내 입속 상피세포를 채취한 다음, 뚜껑을 닫았다. 아니, 그날은 그냥 돌아갔던가? 잘 기억나지 않는다. 여하간 중요한 것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가득 채운 수십억 마리의 정체불명 생명체들. 빛을 보면 더 모여드는 이 생명체의 정체는 바로 갯지렁이예요. 한강에는 바다에서 들어오는 물을 막아주는 하굿둑이 없어서, 바다에 사는 갯지렁이가 한강에 모여들거든요. 특히 3월 중순이 짝짓기 철이라 갯지렁이가 더 활발하게 움직였다고 하는데요.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