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d라이브러리
"
무리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은 왜?] 휘두르기만 해도 티라노가 깜짝? 안킬로사우루스의 꼬리 곤봉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신호’를 보내는 거예요. 천적인 수각류 공룡을 발견하면 멀리 흩어져 있던 같은
무리
의 구성원들에게 위험을 알리는 거지요. 그럼 구성원들은 그 소리를 듣고 재빠르게 대피할 수 있었을 거예요. 한편 육식공룡인 수각류는 꼬리로 균형을 잡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수각류는 골반(엉덩이뼈)을 ... ...
[가상인터뷰] 참치 수영 실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최대 3m 정도이고, 몸무게는 450kg에 달해요. 보통 해수면 아래 200m 정도에서 헤엄치며,
무리
지어 다니는 멸치와 청어 등을 먹고 산답니다. 대부분의 물고기는 몸 안의 온도가 주변 수온에 따라서 변해요. 그런데 저희는 열대바다에서 온대바다까지 넘나들며 먹이를 찾기 때문에 주변 온도와 관계없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니모를 찾아서’를 보면 바다거북
무리
가 바닷물의 흐름에 몸을 맡긴 채 이동하는 모습이 등장해요. ‘해류’를 타고 손쉽게 바닷속을 이동하는 거예요. 그런데 늘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 것처럼 보이는 바닷물이 실제로도 영화 속에서처럼 빠르게 움직일 수 있을까요? 사실 바닷물은 오랜 기간에 ... ...
[가상인터뷰] 바다오리 알이 타원형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바다오리예요. 해안가의 암초나 암벽 위에 알을 낳고
무리
를 지어 살아요. 주변 바다에서 물고기와 작은 연체동물, 갑각류를 사냥해 먹지요. 특이하게도 계절에 따라 깃의 색깔이 달라져요. 여름에는 가슴과 배는 흰색이고 얼굴과 등은 검은색이에요. 반면 겨울이 되면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의 날개 문양을 닮은 까치수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발견할 수 있어요. 까치수염은 땅 속에 묻힌 줄기를 주변으로 뻗으며 번식을 하기 때문에
무리
를 지어 자라거든요. 게다가 작은 꽃들이 아래에서 부터 위로 차례차례 피기 때문에 여름 내내 꽃을 볼 수 있답니다. 하지만 산에서 까치수염처럼 생긴 꽃을 본다면 큰까치수염일 확률이 높아요.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알람 앱을 주제로 하고 있는데요. 아이돌 가수가 알람을 많이 받으려고 콘서트장에
무리
하게 팬을 끌어 모으고, 알람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스토리는 ‘좋아요’에 목을 매는 현실의 우리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웹툰에 나오는 앱은 반경 10m 내 위치 정보를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것인가? 하지만 정체불명의 질문자가 직접 이야기해주지 않는 한, 죽은 생물의 조직을 아
무리
해체한들 정답은 나올 리 없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추측만 무성해질 따름이었다. 언젠가 에반스 교수는 “혹시 금성에서 온 거 아닐까요?”라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펄펄 끓는데다가 황산 비가 내리는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미는 힘 차이가 상당했다. 일반 카트로 매번 많은 책을 운반한다면 하루만 일해도 팔에
무리
가 올 것 같았다. 박 매니저는 “에어카트를 도입한 뒤 직원들의 업무 효율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클라우드로 위치 확인, 장애물은 로봇이 확인어라운드와 에어카트는 첨단 로봇 기술을 일상생활로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하거든. 눈이 녹으면 둥지에 물이 고여 알들이 얼어버리는 일도 많지. 우리가 아
무리
추위에 적응해왔다고는 하지만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를 모두 극복할 수 있는 건 아니야. 과학자들은 번식 성공률을 산출하기 위해 포란기에 우리들의 둥지 수를 세어가고, 새끼들이 보육원에 들어갈 시기에는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 동 씨는 핀셋으로 개미를 네 마리쯤 집어 새끼손가락만한 튜브에 넣었다. 그는 “
무리
하게 채집하면 군체자체가 손상돼 복구가 불가능해진다”며 “흙 표면에서 일개미 몇 마리만 채집하고 끝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동 씨는 그마저도 연구 목적일 때만 채집한다고 했다. 실제로 그는 이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