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적"(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색깔을 보았을 때의 느낌을 연결할 수 없는 거예요. 색깔이 주는 느낌은 위치, 길이, 면적, 부피, 질량과 같은 용어로 나타낼 수 없어요. 여러분이 소금을 먹었을 때를 생각해 봐요. 소금의 짠 맛이 어떤 느낌인지 자연과학 용어로 설명할 수 있나요? 이처럼 촉감, 맛, 고통 등의 생생한 느낌은 ... ...
- [시사과학 뉴스] 동물원 퓨마 호롱이는 왜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수족관을 관리하는 ‘동물원법’이 시행됐지만, 이 법은 동물의 사육환경이나 사육시설 면적 등을 강제할 수 없어요. 따라서 법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커지고 있죠.동물원,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홈페이지 ‘시끌벅적 토론터’ 게시판에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만든 터치패드는 닿는 물체의 강도와 함께 닿는 면적도 인식할 수 있지요. 물체가 닿는 면적과 힘 사이의 관계를 계산하면, 딱딱한 물체와 부드러운 물체를 구분할 수 있답니다.“컴퓨터를 편하게 쓰려면 마우스나 키보드, 터치패드처럼 명령을 내리는 입력장치가 잘 작동해야 해요. 이처럼, ... ...
- 블루카본이 도대체 뭐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곳보다 탄소를 더 빨리,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해안 생태계는 바다 전체면적의 2%에 불과하지만, 바다로 흡수되는 탄소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뛰어난 탄소 흡수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 ...
- 갯벌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 저장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서해 갯벌의 변화를 추적했어요. 위성 사진을 분석하여 한국과 북한, 중국의 갯벌 면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알아보았죠. 그 결과, 약 40년 동안 세 나라에서 1/3이 넘는 갯벌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간척으로 갯벌이 농경지가 되었고, 그만큼 블루카본의 양도 줄어들었죠. 앞으로 더 이상의 ... ...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헉헉, 목말라... 깨끗한 물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걸러진답니다.그렇다면 숯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 숯은 매우 미세한 구멍들이 많고 표면적이 넓어 이물질을 잘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정수기에 숯을 넣으면, 숯의 표면에 이물질이 흡착되면서 물이 더 깨끗해진답니다.*흡착: 고체 표면에 기체나 액체 분자가 달라붙는 ... ...
- [과학뉴스] 곰돌이 젤리, 센서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단점이 있었지요. 실리콘을 대신해 나노 입자나 나노 선 등으로 바꾸어 봤지만, 표면적이 작아 효율이 떨어졌답니다.연구진은 일단 곰돌이 젤리를 녹인 다음 원하는 형태로 다시 굳혔어요. 이후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해 젤리 표면에 탄소 잉크를 전극 모양으로 프린팅했지요. 그 결과 단일 세포나 몇 ... ...
- Part 5. 2017년 한반도 열대과일 재배 현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망고, 패션 후르츠, 구아바, 용과, 파파야, 바나나 등이 있답니다. ●헥타르(ha):면적을 나타내는 단위(1ha=10000m2).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던 과일들의 경우, 재배 지역이 점차 변하고 있어요. 비교적 따뜻한 남쪽에서 재배되던 과일들이 점차 북쪽으로 올라오고 있는 거죠. 예를 들어, 제주에서 주로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IBS 지하실험연구단이 2014년 완공한 ‘Y2L A5’ 실험시설이다. A6 실험시설은 총면적 100m2로 4개의 방으로 구성됐다. 이곳에서는 요오드화세슘 결정 검출기를 이용해 한국형 암흑물질 탐색 실험(KIMS)이 진행되고 있다. 검출기가 설치된 붉은 조명의 방에서 이현수 IBS 지하실험연구단 부연구단장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억분의 1 정도다. 이때, 단위 시간 동안 지구 대기권 밖에서 태양 광선에 수직인 면적(단위면적)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태양 상수(I)라고 하는데, 그 값은 대략 2cal/cm2·분이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지구로 도달한 태양에너지의 30%는 대기와 지표에서 반사돼 우주로 되돌아가고, 약 70%의 에너지가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