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봇"(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과학법정 열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법정에 로봇이 나타나 조금 놀라셨다고요? 하하.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 로봇은 법정 단골손님이 됐습니다. 오늘은 제게 접수된 과학 사건을 하나씩 소개해 드리려 해요. 아! 제 앞에서 눈치 보고 있는 이 친구 얘기부터 시작할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과학법정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법인격을 부여하는 논의가 시작됐지요. 최 교수는 “사람 형체를 하는 인공지능 로봇부터 법인격이 출발할 것”이라고 했어요. 인공지능에게 법인격을 주면 무엇이 달라질까요? 성인이 저지른 잘못은 부모가 아닌 성인 스스로 책임을 지듯, 인공지능도 독자적으로 재산을 관리하고, 손해에 대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 손 재난 현장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막대를 누르지요. 그러면 마치 시소처럼 뒤쪽 막대와 연결된 손가락 앞쪽이 위로 들리며 로봇 손이 움직이는 거예요. 고정핀이 드럼을 따라 한 바퀴를 돌면 들려있던 손가락은 다시 내려온답니다. 즉, 고정핀을 꽂는 순서에 따라 손가락의 움직임을 마음대로 코딩할 수 있지요.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말이나 내년 초에는 비교적 완성된 로 봇으로 시연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과동 : 로봇과 기계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추가로 해 주고 싶은 말씀은 있으신가요? 정호 최근에 우리 사회의 산업 흐름을 보면 주로 아이디 어로 창업해서 서비스로 수입을 얻는 데 관심이 쏠려 있는 것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한 번 꼼꼼하게 읽어보았다. 모 노인 대상 대화용 안드로이드의 얼굴 인식용, 표정 분석 로봇의 데이터용, 노인의 특징을 인공지능에 합성시키는 용도 등. 그렇군. 외할머니, 4000 포인트 감사히 받겠습니다. 나는 제출 버튼을 누르고 기지개를 쭉 켰다. 그리고 다른 프로젝트들을 훑어보다가 포토샵 ... ...
- [수학뉴스] 화성 탐사로봇 속 비밀 암호 6시간 만에 풀렸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NASA)이 2020년 7월 30일에 발사한 화성 탐사선 ‘마스 2020’에 실렸던 탐사로봇(로버) ‘퍼시비어런스’가 2021년 2월 18일(미국 현지 시간) 화성에 무사히 착륙했습니다. 퍼시비어런스는 204일 동안 4억 6800만 km를 비행한 끝에 화성 주변에 도착했고, 착륙하는 모습이 전 세계에 생중계됐죠. 그런데 전 세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4화. 사라진 말캉 다이아몬드, 범인은 바로 삐뚤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어떻게 그 눈빛을 보고 거짓말을 할 수가 있죠?”딱지가 물었습니다. “잊었어? 난 로봇이야. 그런 눈빛에 넘어가지 않는다고.”“이 행성에 관해 알고 있었어요?”“당연하지. 여기서는 잘못 걸리면 귀찮은 부탁만 들어주게 된다고. 그래서 다들 여기를 싫어해. 결국, 나 혼자 일해야 하니 나도 ... ...
-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연구에 참여한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은 “캘리포니아 검은벌레의 움직임을 모방하면 로봇끼리 의사소통 없이도 군집을 이뤄 움직이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073/pnas.201054211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저건 냠냠 맛있는 파이라고? 앗, 너희들 왔구나! 반가워! 난 인공지능(AI) 수학을 알려주는 로봇 ‘아이매스(AiMath)’야! 내가 지금 뭐 하는 중이냐고? 먹는 파이와 원주율 파이를 구별하려고 학습하고 있어. 인간의 뇌 신경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면 먹는 파이와 원주율에 대한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1038/s41467-021-21322-0그동안 체액과 같은 유체에서 나노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형태가 비대칭적이거나 유연해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구형 입자는 대칭적이기 때문에 나노봇이 될 수 없었다. 연구팀은 실험과 모델링을 통해 자성을 띠는 구형 입자도 체액과 같은 유체 내에서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