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두께"(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소리를 내기 때문에, 물의 높낮이를 조절해 원하는 음을 만들어낼 수 있다. 단, 유리컵의 두께가 조금씩 차이나기 때문에 정확한 음계를 만들기는 어렵다.막대가 없으면 물을 조금 묻혀 유리컵 가장자리를 문질러 보자. 마찬가지로 컵이 떨리면서 소리가 난다.추가 실험. 자로도 실로폰을 만들 수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앨버레즈 부자는 중생대 백악기 말과 신생대 제3기의 지질 사이에서 1~3cm 두께의 붉은 점토층을 관찰했다. 이 층을 ‘K-T 경계층’ 혹은 ‘K-Pg 경계층’이라고 부른다. 앨버레즈 부자가 이 층에서 주목한 건 많은 양의 이리듐(Ir)이었다. 이리듐과 같은 10족 원소는 지구에서 거의 발견하기 힘든데, 이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었는데 전체 길이는 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0분의 1mm)이며 현의 길이는 약 6~12μm, 두께는 0.2μm밖에 되지 않아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다. 사람 머리카락 두께(약 200μm)보다도 훨씬 작고, 적혈구와 비슷한 크기다(옆의 사진은 크게 확대한 것).이 악기는 전기회로를 어느 수준까지 작게 만들 수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상이 되면 녹기 때문에 결코 안전하지만은 않다. 그래서 활물질의 종류, 양, 분리막의 두께와 가로, 세로 길이 등을 설계하는 일은 배터리 제조의 핵심이다.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배터리를 만드는 사람치고 설계의 중요성을 모르거나 설계가 잘못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모르는 사람은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파악하는 데 중요한 또 다른 뼈는 쇄골이다. 쇄골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생겼다. 길이, 두께는 물론 뼈가 휘어진 정도나 근육이 닿는 지점의 울퉁불퉁한 정도 등이 제각각이다. 이 사실은 우연한 기회에 법의인류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됐다. 10여 년 전 미군 부대의 한 창고에서 엑스선 필름이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치매 같은 난치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머리카락 두께보다도 훨씬 작은 소재가 과연 어떻게 이로운 물질로 탄생하게 될지, 연구팀에서 조만간 전해올 좋은 소식이 기다려진다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속도를 높이는 지방질)의 양, ②해당 영역의 기능, ③영역 간의 연결성, ④피질의 두께, ⑤뇌표면의 급격한 모양 변화를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들 중 2개 이상의 특징이 급변하는 구역들을 하나하나 나눴죠. 이 과정을 대뇌 피질 전체에 걸쳐 진행했습니다. 이전의 뇌 지도는 다섯 가지 특징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미세한 침식이 관측됐다. 한 측정 지점에서는 3개월 전 마지막으로 측정했을 때보다 흙의 두께가 1cm나 줄었다. 놀란 기자에게 송 책임연구원은 “독도는 워낙 바람이 세고 경사가 심하다”며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침식이 급격히 심해지면 별도의 조치를 하기 위해 토층 ... ...
- [과학뉴스] 더우면 붙고 차가우면 떨어지는 문어 빨판 접착판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문어는 다리에 달린 빨판 속 근육의 두께를 조절해서 달라붙거나 떨어진다. 빨판 두께를 얇게 만들면 빨판과 접착 표면이 만드는 공간이 넓어지면서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잘 달라붙고, 두껍게 하면 압력이 높아져서 떨어지는 식이다.연구팀은 고무와 유사한 고분자 탄성 물질(PDMS)에 나노미터(nm·1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느린, 1년에 1.6cm 미만의 속도로 확장한다.남극대륙면적이 약 1310km2이다. 평소에는 약 2000m 두께의 빙하로 덮여 있다. 남극점을 기준으로 동남극대륙과 서남극대륙으로 나뉜다. 동남극지역이 해발고도 2000~2500m로 서남극지역(해발고도 약 1000m)보다 높다.남극 중앙해령‘불의 고리’가 얼음대륙을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