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형"(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수 있게 하는 기술이전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반도체 웨이퍼의 불량 여부를 파악하거나 대형 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의 불량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 등은 이미 상용화됐다. 강 책임연구원은 “X선을 이용해 물체 내부의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하거나, 3D 프린터에 대한 측정 표준을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특성 덕분에 붕괴 등의 참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며 “만약 조기에 발견하지 못했다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했다”고 덧붙였다.한편 석촌동 땅꺼짐 사고 이후 2015년 12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돼 올해부터 시행됐다. 공사를 진행할 때 10m 이상 굴착이 필요한 경우 공사 허가를 ... ...
- Part 3. 9를 사랑한 음악가 콘서트수학동아 l2018년 10호
- NCT 127 등 멤버가 9명인 아이돌이 많습니다. 왜일까요? 모두 TV를 봐주세요. 우선 춤 대형을 짤 때 멤버 수가 홀수면 활용도가 높아요. 각 파트에서 주로 노래를 하거나 춤을 추는 멤버가 가운데 서는데, 멤버 수가 홀수여야 좌·우에 같은 수의 멤버가 설 수 있어요. 특히V자로 서면 서로 가리지 않아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단원들이 머물 숙소동과 3층 규모의 실험동 외에도 위성관제소, 배양동, 발전실, 대형선박 계류시설 등 다양한 시설이 있었다. 배양동 수조에는 이곳 바다에서 자라는 관상어와 해삼, 맹그로브 크랩 등이 가득했다. 최 기지대장은 “유용한 신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시료들”이라고 말했다 ...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총구멍에서 발사했다면 배가 뒤집힐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배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대형 포들은 배의 앞부분에 배치돼야 한다는 것이 채 교수의 주장입니다.오늘날 무기 기술은 신기전과 거북선에 비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습니다. 수천 km를 날아 다른 대륙에 있는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는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내려가 살펴본 이사부호의 기관실은 이런 사실을 실감하게 했다. 대형 원룸보다 큰 초대형 발전기 4대가 나란히 늘어서 있었고, 이곳에서 만들어낸 전기를 모터 방식의 추진기로 보낸다. 언제든 배를 앞뒤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1m 정확도로 제어할 수 있다.이사부호의 최대 속도는 15노트(약 28km)지만 ... ...
- [Culture] 강아지가 무서워해서 산책을 못 나가요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움직이지 않아서 결국 15kg이나 나가는 녀석을 안아들고 가야 하죠. 심지어 버스정류장 대형 광고판에 있는 사람 사진만 봐도 가까이 못 가요. 간식으로 겨우 달래서 광고판 근처까지 가는 데 6개월이 걸렸어요.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는 불안장애(anxiety disorder)의 한 가지로 불안상태가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재난영화를 보고 건축학도의 꿈을 키우기 시작했다. 그는 “고층 건물에 대형 화재가 난 영화였는데, 불량 재료로 건물을 만든 것이 화재의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여 교수가 대학에 다니던 시기는 건축에서 적은 비용으로 튼튼한 건물을 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졌던 때다. 하지만 그는 ... ...
- 신과 함께? CG와 함께!수학동아 l2018년 09호
- CG)을 사용하는 영화는 많이 봤지만 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 CG로 만들어야 하는 초대형 한국 판타지 영화를 본 적은 없었으니까요. 그런데 웬걸, 베일을 벗은 ‘신과 함께’는 여봐란듯이 원작 속 지옥을 그대로 스크린으로 끌어냈어요. ‘이건 생략하겠지?’ 혹은 ‘이게 될까?’ 싶었던 것들도 ... ...
- Part 3. 우주공장을 우주에서 짓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개발되면 우주 공간에서 기계가 스스로 3D 프린터로 부품을 만들고 로봇팔로 이를 조립해 대형 구조물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한편, 우리나라에도 유일하게 우주건설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연구팀이 있어요. 바로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이태식 교수팀이지요. 이 교수팀은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